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밝혀졌다. 아칸소대 제공 ● 파란트로푸스 하빌리스? 케냐에서 태어난 영국의 고고
학자
루이스 리키는 아내 메리와 함께 1930년대 탄자니아 올두바이 협곡을 탐사해 많은 석기를 발굴하고(바로 올도완 석기다) 이를 만들었을 고인류의 화석을 끈질기게 찾았다. 1959년 어느 날 메리는 마침내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 소장). 지니너스 제공 2020년 한국 사망자 중 27%는 암이 원인이다. 한 해 암으로 치료받고 있거나 암 치료 ... 인재를 심는 것이 아닌 양질의 연구 및 시장 진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은 의사과
학자
를 탄생시킬 수 있는 유일한 정답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두 번 바뀌도록 이를 DNA ligase 대신에 DNA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린
학자
는 없었다. 다시 생각해 보자. ‘서로 다른 두 가지 DNA를 이어붙여야 DNA 재조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담당하는 DNA ligase는 효율이 낮아서 성공가능성이 낮다. 어떻게 하면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까?’ ... ...
[논문감시] 한국 저명 심장
학자
논문 2건 철회..."학계 관행" 옹호 주장도
2023.02.10
한다”고 말했다. 또 박 교수의 이력을 열거하며 “박 교수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심장
학자
”라고 밝히는 등 수 많은 옹호 댓글들이 달렸다. 이같은 주장에 대한 갑론을박도 이어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그렇지 않다. 내부 고발자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며 “논문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 그런데 과연 ‘좋은 짝’을 판단하는 우리의 눈은 정확할까? 서던뉴햄프셔대 심리
학자
파비 가네(Faby Gagné)는 연인과 아직 깊은 관계로 발전하기 전 단계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깊은 단계로 발전한 후의 관계가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 보게 했다. 한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연인과 동거를 하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받아들이는 것이 마음이 편할 것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상황이라면 의
학자
들이 어떻게 해서라도 해결하기 위해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겠지만 말이다. 장대익 교수가 책 제목으로 쓴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라는 표현에 적극 동의한다. 필자는 “의학은 과학의 한 분야”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어려운 것부터 해치워야 효율 높아져
2023.01.28
그렇게 하면 고통을 견딘 마지막에는 달콤한 맛을 오래 느낄 수 있는 법이다. 심리
학자
레이철 하버트(Rachel Habbert) 등의 연구에 의하면 일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다. 쉽고 재미있는 일을 먼저 하기보다 가장 어렵고 하기 싫은 일을 먼저 하는 것이 더 생산성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관절염 치료를 모색중이다. 물론 많은 동료과
학자
들과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의 견제와 비난이 만만치 않다. 젊은 피에서 확보한 혈장 성분들의 항노화 효과 및 노화성 질환 치료 효과가 모든 연구에서 재현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기도 하고 다른 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되었던 ‘융합과학’에서 새로운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
학자
들에게나 필요한 과학 개념만을 가르치는 대신 현대 과학이 제시해주는 우주관·자연관·생명관을 가르치는 것이 융합과학의 목표다. 단순히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야 하는 개념의 범위가 아니라 교육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최초로 발견했는가를 판정하고자 할 때 후보로 등장하곤 한다. 이외에도 많은
학자
들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위에서 세균을 발견했다는 주장을 했지만 1980년대가 시작될 때까지 강산성 위액이 분비되는 위에서 세균이 생존한다는 것은 의학의 진리에 맞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과거의 발견은 모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