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강하게 줄 수 있다. 성폭력을 예로 들면 캐나다 캘거리대(University of Calgary)의 심리
학자
첼시 윌니스(Chelsea Willness) 등은 직장 내 성폭력에 대한 41개의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며 다음과 같은 발견을 했다. 우선 많은 연구들에서 ‘성폭력을 용인하는 조직의 분위기’를 문제로 지적했다. 성폭력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것이지만 정상세포도 방사선을 받으면 죽게 되므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의
학자
들은 더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치료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이용하기도 한다. 국제학회에서 과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발표하는 논문이 정반대의 결론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모습이 애처로울 뿐이다. ‘기준치’가 임의로 설정된 것이라는 물리
학자
의 억지도 황당한 가짜 과학이다. 고속도로의 ‘제한속도’도 임의로 설정한 것이지만 함부로 무시해서는 안 된다. 세상이 물리학 법칙만으로 움직인다는 식의 억지는 부끄러운 것이다. 언론 보도에서 진짜 과학과 가짜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천재 소년 배역 이름을 딴 “두기(doogie)” 생쥐라 불리던 이 유전자 조작 생쥐를 보고 과
학자
들과 평론가들은 오랜 시간동안 인류가 희망했던 ‘머리가 좋아지는 기술’의 개발을 드디어 완성한 듯 흥분했다. 하지만 후속 연구에서 두기 생쥐의 여러 단점이 발견되고 나서야 그 흥분이 점차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두 선배 이름을 발진티푸스의 병원체(Rickettsia prowazeki)에 남겨 주었다. 이러한 선구적인
학자
들의 노력에 의해 오늘날 발진티푸스는 적절한 치료제를 투여하면 어렵지 않게 치료가능한 병으로 남아 있다. ※ 참고문헌 1. Horatio Nelson. 브리태니커 사전.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Horatio-Nelson/Victory-at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수 있다' 인정 못하는 이유
2023.06.24
애초에 부정하는 것이 더 손 쉬운 해결법이 된다. 로체스터대(University of Rochester)의 심리
학자
해리 레이스(Harry Reis) 와 동료들은 작은 흠결도 자아에 대한 위협으로 지각하는 과도한 자기 방어를 낮추는 방법들이 지적 겸손도를 높여줄 것이라고 보았다. 심리적 안정감의 중요한 원천이 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아니라는 걸 들었지만 정작 구조를 찾아보지도 않았다. 그런데 2018년 저명한 영양
학자
브루스 에임스의 논문을 읽고 타우린을 다시 보게 됐다. 이 논문에서 에임스는 부족해도 당장 생존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꼭 필요한 영양소를 ‘장수 비타민’이라고 부르며 9가지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
2023.06.03
이들 응급처치들은 우리 몸과 마음에 굳은살처럼 자리잡곤 한다. 워털루대의 심리
학자
도널드 마이켄바움은 이러한 현상을 연구해 스트레스 접종 이론(stress inoculation theory)을 만들었다. 우리 안에는 각종 병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면역세포들이 존재하고 이들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X선의 위대한 도약, 단 한 개의 원자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6.03
비롯한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체의 방전 현상을 연구하던 독일 물리
학자
빌헬름 뢴트겐은 1895년 우연히 X선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는 이 우연한 발견으로 첫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쏘와이 흘라 미국 오하이오대 교수 연구팀은 역사상 최초로 X선을 통해 단 하나의 원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실험실 사람들 다수는 생화학을 전공한 뒤 X선 결정학을 배운 반면 김 박사는 물리화
학자
로 석사 때부터 X선 결정학을 연구했기 때문에 이런 차이를 리치가 알아본 것이다. 그 뒤 김 박사가 이끄는 tRNA 팀이 놀라운 성공을 이어나가면서 과거 동료들의 영광을 지켜봐야만 했던 리치도 무대의 중심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