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그런 통계가 자연과학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9세기 말 오스트리아의 물리
학자
루트비히 볼츠만에 의해 정립된 통계열역학은 물론이고 현대 과학의 가장 중요한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양자역학도 근본적으로 통계적 해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론의 정립에 누구보다 중요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의해 발견된 무균처리법이 널리 이용되기 시작하자 리스터는 고든과 제멜바이스 등 앞선
학자
들의 연구가 있었기에 자신의 발견이 뒤따라왔다는 이야기를 함으로써 선구자들의 공헌을 인정했다. 세상을 바꾸는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면서 충분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않은 사람이 있다. 이 차이는 뭘까. 암스테르담 자유대(Vrije Universiteit Amsterdam)의 심리
학자
프란체스카 리게티(Francesca Righetti)는 약 130쌍의 커플들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매일매일 두시간마다 한번씩 지금의 기분 상태, 파트너를 위해 희생적인 행동을 했는지, 그 행동을 얼마나 후회하는지 물었다.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일으켜 이런 천체가 될 수 있음을 이론으로 보였다. 다시 30년 가까이 지나서야 이론물리
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가 이런 천체를 가리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별의 일생을 보여주는 도식으로, 태양은 수소의 핵융합이 왕성이 일어나는 장년기를 보내고 있다(주황색). 연료가 고갈되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들은 내용을 비밀로 하라”와 같이 윤리적 내용을 담았다는 것이 그가 시대를 앞서간
학자
라는 평가를 받고 ‘의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에 걸맞게 그가 남긴 훌륭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길이가 약 2,000자 정도에 이른다. 따라서 역삭적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만든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타인을 악의적으로 질투하는 것이다. 암스테르담대의 심리
학자
옌스 랭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자격의식(“솔직히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다”) 수준과 사회적 지위를 향한 욕망(“주변 사람들이 나를 존경하고 우러러보도록 만들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염화칼슘이 ‘지구 전체를 점점 더 짜게 만드는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라는 사회
학자
의 감성적인 지적도 있다. 그렇다고 과연 도로 밑에 설치하는 ‘열선’을 깔고, 불가사리로 만든 ‘친환경 제설제’를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사실 환경에 어떠한 피해도 주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진핵세포라는 점이 차이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는 핵의 유무 외에도 아직까지
학자
들이 발견하지 못한 차이도 있으므로 일부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기는 하지만 사람과 같은 진핵세포에서는 아무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닥티노마이신은 세균이든 암세포든 DNA에 닥티노마이신이 끼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극복하지 못한 결과였다. 실제로 1995년 5월에는 ‘월간 말’이라는 잡지에 영남대의 영문
학자
가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원자탄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등장했다는 엉터리 외신을 번역해서 소개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다. 불소가 암(뼈암·방광암)을 일으키고, 면역 체계를 파괴하고, 노화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플로리와 체인 앞선 발견과 아무 차이가 없이 역사속으로 사라져가던 페니실린을 살려낸
학자
는 플로리(Howard Walter Florey)와 체인(Ernst Boris Chain)이었다. 1935년부터 옥스포드대에서 병리학교수로 일하기 시작한 플로리는 이듬해에 체인을 초빙하여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초기에 이들은 라이소자임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