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다가오고 있는 재앙에 대해 우리는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 에든버러대의 환경 심리
학자
데릭 에벤슨(Darrick Evensen) 등은 2019-2020년에 걸쳐 영국인 약 1900명을 대상으로 기후 위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걱정을 조사했다. 때마침 COVID-19라는 재난이 닥쳐왔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눈 앞에 새로운 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이름이 바뀌었다. 결핵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말년까지
학자
로서의 능력을 발휘한 코흐는 1905년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그는 1910년에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그가 소장으로 근무한 연구소 이름이 자신의 이름으로 바뀌는 것을 보지 못했다. ※ 참고문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둘러보면 '소중한 존재'가 있다
2023.09.09
행복해 질 수도, 아니면 되려 불행해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웨스트 버지니아대의 심리
학자
제나 윌슨(Jenna Wilson) 등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를 잘 인식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지금 이 순간에 머무는 ‘마음 챙김’과 작은 행복도 길게 곱씹어보는 ‘음미하기’ 또한 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매매 합법화하면 성폭력 줄어들까
2023.09.02
연구들이 성구매 경험과 성폭력 사이에 많은 연결고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학자
들이 살인 충동을 참지 못하는 사람에게 살인 체험을 시켜주는 것이 문제의 해결방법이 되지 못하듯 성폭력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성폭력 체험을 시켜주는 것은 올바른 대처법이 아님을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경험이 유전적으로 세대간 전달된다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프랑스 박물
학자
장 바티스트 라마르크이다. 그는 용불용설(用不用說; Theory of Use and Disuse)이라는 가설을 내세워 모든 생물이 현재의 경험을 통해 획득한 특정 형질을 다음 세대에 전달함으로써 진화의 과정을 거친다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나오기 전에 이미 달력을 만들었고 문학 작품을 비롯하여 많은 기록을 남긴
학자
다. 그는 로마어로 나쁜을 의미하는 ‘mal’과 공기를 의미한 ‘aria’가 합쳐진 “말라리아”가 감염병의 원인이라 주장했다. 바로가 이런 주장을 한 것은 늪지대에서 감염병이 잘 발생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할 수 있는 '작은 성취'로 자신감 키우기
2023.08.19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 유추해볼 수 있다. 최근 힐데스하임대의 심리
학자
말레 로스워그(Malte Roswag) 등에 의하면 하루 업무를 시작하기 전 운동을 하는 것이 자신감을 높이고 불안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직장인 269명을 대상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하기 전 가벼운 운동을 하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금연·다이어트, 의지력만으로 안되는 이유
2023.08.12
문제들을 방치하게 되어 목표 달성과 더욱 멀어지는 것은 아닐까. 캐나다 칼턴대의 심리
학자
애너마리 잰나라(Anamarie Gennara)와 동료들은 실제로 의지력으로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력 신화가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다양한 자기 통제 전략들(유혹을 일으키는 자극 자체를 멀리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MraY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가는 모르는 상태였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칼텍)의 화
학자
들은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단백질E의 일부가 MraY에 달라붙어 반응물질이 들어가야 할 자리를 차지하는 동시에 단백질E의 나머지 부분이 또 다른 대장균 단백질인 SlyD에 달라붙는 복합체를 만든다는 사실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그렇다고 철썩같이 믿고 있을수록 실은 틀렸을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 워털루대의 심리
학자
셰인 리트렐(Shane Littrell) 팀은 다른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잘 모르면서 아는 척 얼토당토 않는 주장을 펴는 사람들이 자신이 옳다는 자신감은 높으면서 실제로는 가짜 뉴스에 더 쉽게 속아 넘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