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사회적 지위 높을수록 고립에 더 취약"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제공 사회적 지위와 건강은 서로 연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통계와 경제
학자
들에 따르면 사람은 부나 사회적 지위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 대체로 사회적 지위가 낮을수록 단명한다. 이와 달리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고립, 외로움 등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나단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
학자
,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인정을 받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헝가리 제멜바이스대 회의실에 전시된 산과 의
학자
이그나츠 제멜바이스의 초상화. 이 회의실은 제멜바이스대가 가장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곳이다. 이곳에서 한번 결정된 사안은 뒤집을 수 없다는 규칙이 있다. 예병일 제공 ● 치명적인 산욕열을 예방할 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로는 자신에게 너그러워야 성장한다
2023.03.25
단단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의 심리
학자
다니엘 윌슨(Danielle Wilson)은 여성 스포츠 선수들을 대상으로 중요한 도전과 실패가 일상인 이들이 자신의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는지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우선 많은 선수들이 “강인한 ... ...
[박정연의 닥터스] “몸도 기억하는 트라우마...신체로 치료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출범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뿐만 아니라 심리
학자
, 사회복지
학자
, 정신보건간호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다학제적인 노력을 하게 됐다. 조금 더 시간이 흐른 후에는 국가트라우마센터가 출범하여 코로나19, 이태원 참사에서도 국가적 지원이 이뤄졌다. 세월호 사고와 관련 주로 세월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
2023.03.18
반대로 서두르기(procrastination)라고 부른다.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대학의 심리
학자
데이비드 로젠바움(David Rosenbaum)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사람들에게 목적지까지 바구니를 옮겨서 나르게 한다. 이 때 바구니가 놓인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코스를 선택할 수 있었다. A 코스는 바구니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말단비대증과 거인증이 발생한 상태였다. 1783년 6월 찰스 번은 자신이 죽고 나면 해부
학자
들이 자신의 시신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바다에 묻히고 싶다고 말했다. 그 직후 갑자기 건강이 나빠져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희망과 다르게 그의 시체는 파헤쳐져 존 헌터에게 인도되었다. 헌터는 번의 친구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습으로 전수되는 꿀벌의 8자 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특히 꿀벌의 주식인 꿀을 획득하기 위해 꽃의 방향과 거리를 알리는 ‘8자 춤’은
학자
들의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제임스 니에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 연구팀은 꿀벌이 숫자 ‘8’ 모양을 그리면서 꿀이 담긴 꽃의 위치를 알리는 8자 춤이 학습을 통해 후대 꿀벌에게 전수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작년 겪은 폭설·한파·폭우·이상고온, 올해도 찾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학자
들은 극단적 기상현상이 기후변화의 한 신호로 보고 있다. 기상청이 8일 공개한 ‘2022년 겨울철 기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2월까지 지난 겨울 내내 기온변동이 매우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메티실린에 내성을 가진 포도알균에 효과를 지닌 반코마이신을 개발했다. 이와 같이 의
학자
들과 세균은 서로 승리를 거두기 위한 경쟁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가장 중요한 원리는 플라즈미드 DNA를 서로 주고받는 것이다. 이는 세균 입장에서 보면 진화과정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축소된 자아의 효과를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학교의 심리
학자
폴 피프(Paul Piff)에 의하면, 사람들에게 자연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사진을 보게 하거나 높은 나무 위에 서서 세상을 내려다보는 상상을 하게 하는 등 상대적으로 작은 자신을 지각하게 하면 좀 더 타인에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