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실렸다. 미국 터프츠대 인간영양연구센터 수전 로버츠 교수와 사이 크루파 다스
박사
가 공동 필자로 음식을 제대로 고르면 공복감을 덜 느끼게 돼 지속가능한 다이어트로 살을 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이들은 임상 참가자들에게 평소 허기를 얼마나 자주 느끼는지에 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미주신경에 부착해 자극을 주면 염증반응이 억제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트레이스
박사
는 2011년 류머티스 관절염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시작했는데 12명에서 상당한 증상개선효과가 나타났다.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진의 또 다른 임상에서도 7명 가운데 5명에서 증상이 ... ...
북한 핵실험 여부,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5.16
코발트-60을 실험 수준에서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의 1저자인 김동성 UNIST 석
박사
통합과정생은 “북한의 핵실험 탐지를 위해 전자기파 기법을 적용하는 일은 도발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면서도 “전자기파의 세기를 매우 높인다면, 600㎞ 가량 떨어진 함경북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싱가포르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의 시드니 브레너
박사
는 ‘사이언스’에 기고한 부고에서 “생어 같은 과학자는 (보고서와 논문을 끊임없이 써야하는) 오늘날 과학계 풍토에서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과학자들이 호기심에 이끌려 살았던 좋은 시절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한 기고문이 실렸다. 영국 왕립식물정원 캐서린 윌리스
박사
와 옥스퍼드대 질리안 페트로코프스키 교수는 도심의 나무를 ‘자연자본(natural capital)’, 즉 직간접적으로 사람들에게 가치를 창출해주는 자연요소로 보고 논의를 전개한다. 즉 도심에 나무를 심으면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조윤경 그룹리더(가운데)는 우현경 UNIST 생명과학부 석‧
박사
통합과정(왼쪽)과 비자야 순카라(Vijaya Sunkara) UNIST 생명과학부
박사
(오른쪽)와 함께 엑소디스크를 개발했다. 조 그룹리더는 관심분야를 나열해 앞 글자를 딴 'FRUITS' 연구실을 운영 중이다. - UNIST 제공 MIT,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분자도 호르몬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추측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3년 일본의 고지 고토
박사
가 FT단백질 유전자가 관다발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히고, 2007년 독일 쿠플랜드 교수 등이 애기장대와 벼에서 FT단백질이 잎에서 생성돼 생장점에 있는 정단조직으로 이동한다는 증거를 밝히면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점점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토마스 크로서 미국 예일대 기후에너지 연구소
박사
는 지난해 12월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땅 속 탄소 배출량 증가는 이미 시작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연구는 미국의 생태학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게 말이 되는 걸까. 호주 멜버른대 생명과학부 켈리 교수와 스페인 CREAF 루이스 브로톤스
박사
가 쓴 이 글에서 소개된 개념은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해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로사에서 열린 캘리포니아 북서부 종다양성 심포지엄에서 버클리대 임학과 로버트 마틴과 데이비드 샙시스는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걸로 나왔다. 한편 네안데르탈인은 유럽과 아시아인들에 2% 내외의 흔적을 남겼다. 페보
박사
도 믿을 수가 없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품질의 DNA 정보를 확보했음에도 데니소바인의 생김새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다만 어금니가 현생인류의 것보다 1.5배나 더 크고 네안데르탈인의 어금니보다도 커서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