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4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
2016.12.23
대한 새로운 이론을 낳게 했다. 브루너는 듀크대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뒤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군 복무 뒤 1945년 하버드대에 자리를 잡았다. 브루너는 시지각(visual perception)이 단순히 눈을 통해 들어온 감각정보를 뇌에서 처리한 결과가 아니라 감각정보와 정신요인이 합쳐진 결과임을 여러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과학적 발견들을 설명했다. 특히 하인리히 교수는 IBM 알마덴 연구소의 동료 돈 아이글러
박사
가 STM으로 원자 하나하나를 옮겨 만든 'IBM' 로고를 소개하고, 구리 표면의 일산화탄소(CO) 분자가 삼각형 구조에서 안정되는 원리를 활용해 CO 분자들로 논리회로를 만들고 작동하는 방법을 보여줬다. 또한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말다세나
박사
도 동일한 내용의 논문을 같은 날 발표하였는데, 이 단장이 말다세나
박사
보다 22시간 앞서서 발표하였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고 한다. 대가들의 치열한 두뇌싸움을 엿볼 수 있는 일화이다. 우주는 어마어마하게 큰 컴퓨터?! 위튼 교수와의 인연은 또 있다. 2009년에도 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적을 두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입자물리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1963년
박사
후연구원으로 ICL에 온 제럴드 구럴닉은 네 살 연상인 키블과 친해졌고 두 사람은 당시 화제가 되고 있던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대한 연구를 함께 했다. 이 무렵 구럴닉의 친구인 칼 헤이건이 ICL에 오면서 세 사람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생물학을 공부한 뒤 영국으로 유학 가 옥스퍼드대에서 쇠똥구리의 생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헬싱키대에 자리를 잡은 한스키는 수많은 호수와 섬이 있는 핀란드에 딱 적합한 메타개체군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참고로 메타개체군은 1969년 미국 하버드대의 생태학자 리처드 레빈스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맞아 크로토가 디자인한 화학상 부문 우표 그 뒤 1991년 일본 NEC연구소의 이이지마 스미오
박사
가 풀러렌이 길쭉해진 구조인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하면서 나노과학이 급부상했다. 스몰리 교수는 나노과학 전도사를 자처했고 심지어 자신들이 노벨상을 빨리 탈 수 있도록 로비를 했다고도 한다. 아무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해리 엘더필드’
2016.12.18
세상의 빛을 보기도 전에 아버지를 데려간 바다에 끌렸고 리버풀대에서 해양화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9년부터 리즈대에서 강사로 있으면서 동료들과 암석 시료에 있는 희토류 원소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한 뒤 이를 응용해 대서양의 곳곳에서 해수(海水)를 채취해 시료 50리터에 들어있는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2000만 달러(약 242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에반 스미스 미국 보석학회(GIA)
박사
후연구원은 세계적으로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대형 다이아몬드가 형성되는 원리를 분석하고 그 연구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분석에 활용한 다이아몬드는 세계에서 제일 큰 310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케임브리지대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한 알렉산더는 물고기의 부레의 기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스웨일즈대를 거쳐 1969년부터 1999년 은퇴할 때까지 리즈대에서 동물학을 가르쳤다. 알렉산더는 1960년대 아프리카에 머무르면서 골격과 근육의 구조를 바탕으로 여러 포유류의 이동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응집물질의 특성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콘-샴 정리’를 발표했다. 콘의
박사
과정학생인 필립 통은 밀도함수이론을 써서 나트륨 격자 안에 있는 전자의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성공했고 그 뒤 화학자들이 이론연구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컴퓨터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계산화학 분야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