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4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수소 원자를 표현해낸 것이다. Science 제공 체코과학학술원의 루카스 팔라티누스
박사
가 이끄는 체코, 프랑스 국제 연구팀은 나노미터 단위의 작은 분자에서 수소 원자의 위치를 찾아내는 새로운 방법을 과학전문학술지 ‘사이언스’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물질은 원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있는 시스템생물학연구소(Institute for Systems Biology)의 리로이 후드(Leroy Hood) 교수 지도하에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툴을 개발했다. 후드 교수와 함께 시스템생물학을 질환에 적용하는 연구도 시작했다. 연구 대상은 광우병이었다. 광우병은 바이러스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러브록의 강연에 흥미를 느꼈고 성층권에서 CFC가 무슨 일을 하는지 규명해보기로 했다.
박사
후연구원 마리오 몰리나와 연구를 시작한 롤런드는 성층권에 도달한 CFC가 자외선으로 쪼개져 염소가 생기고 시세론과 스톨라르스키가 제안한 것처럼 오존층을 파괴함을 입증했다. 이들은 이 결과를 1974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샤프롱으로도 탁월했다. 그녀가 화이트헤드연구소에 있는 15년 동안 100명이 넘는
박사
후연구원, 대학원생, 학부생이 지도를 받았다. 린드퀴스트는 특히 언어를 중요시해 실험을 잘하는 것만큼이나 논문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면서도 쉽게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등졌다는 사실이 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52년 콜롬비아대에서 이론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버만은 통신기업 GTE의 연구소에서 반도체의 광학특성을 연구했고 뉴욕대를 거쳐 1974년부터 타계할 때까지 모교(학부)인 뉴욕시립대에서 봉직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버만은 수학의 군이론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95년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에릭 코넬 교수팀에
박사
후연구원으로 합류한다. 진이 오기 수개월 전 코넬 교수팀과 그의 스승이자 동료인 칼 위먼 교수팀은 이론이 나온 지 70년 만에 루비듐원자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를 극저온에서 실현하는데 성공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받았다. 1931년 시카고에서 태어난 크로닌은 1955년 시카고대에서 핵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8년 밸 피치의 영입으로 프린스턴대에 자리를 잡은 크로닌은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를 연구하다 1964년 CP대칭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7년 그곳에 있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첸은 160건이 넘는 미국특허를 보유했고 바이오벤처를 세 곳 설립했는데 주로 자신의
박사
후연구원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네이처’ 10월 13일자에 실린 부고는 세 명이 썼는데, 그 가운데 둘은 그의 친형들인 루이스 첸과 리처드 첸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케임브리지대에서 다시
박사
과정에 들어가 논리학과 위상학 연구로 1959년 두 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제네바대에서 교육심리학자 장 피아제와 함께 일하며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을까 고민하기 시작한 페퍼트는 1963년 인공지능의 개척자 마빈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스미스의 강의를 듣고 생태학으로 전향해 ‘살아있는’ 화석인 개맛을 연구해 196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년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 동물학과에 자리를 잡은 페인은 먹이사슬에 대한 기존 입장, 즉 먹이가 주요 변수이고 포식자가 종속 변수라는 통념을 반박하는 ‘녹색세계가설’를 입증하는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