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투구게의 수를 헤아리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지요.투구게가 지구 생물체였다니! 외계인 특종이 아니라서 너무 아쉬워. 그런데 외계인인 줄 알았던 투구게도 가까이에서 보니깐 귀여워 보이기도 하더라고. 그래서 앞으로는 나도 지구에서 투구게가 사라지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 보려고 해. 어과동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보통 수명이 33년~37년 정도 돼요. 야생에서 주로 과일이나 나무 껍질 등 식물을 먹지만 종종 곤충이나 새의 알, 다람쥐 등을 먹으며 육식을 하기도 한답니다.넌 사람들이랑 참 닮은 것 같은데….맞아요. 사람과 생김새가 닮았을 뿐만 아니라 진화학적으로도 다른 동물들에 비해 사람과 가장 가까워요. ...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그러니까 내가 하루종일 대나무만 먹고 있어도 이해해 줘. 그리고 앞으로도 우리가 멸종하지 않도록 많은 관심 부탁해!위기에 빠진 판다를 구하라!과학자들은 판다가 새끼를 많이 낳아 귀여운 판다를 오랫동안 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다른 판다가 짝짓기 하는 동영상을 보여 주거나,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신종 바이러스는 그동안 우리 몸이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형태예요. 즉, 우리 몸이 신종 바이러스에 맞는 항체를 갖고 있지 않아 바이러스를 물리치가가 어렵답니다.Q 메르스에 감염됐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일단 감염 의심자의 가래를 채취해요. 그리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가래 속에 있는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남을 돕기도 한다.꼭 협력의 본성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인류는 문명화하면서 폭력과 동종 살해에서 점점 멀어져 왔다. 문명 이후 대규모 전쟁과 학살 사건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지만, 인구 대비 발생량은 오히려 급격히 줄어들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티븐 핑커 교수의 저서 ‘우리 본성의 ... ...
- 미국에서 가장 귀한 새를 수배합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안간힘을 쏟았던 사람들의 삶을 소개한다. 국제자연보호협회 활동가로 일하며 멸종 위기 동물에 대한 논픽션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는 저자는, 이 새가 왜 사냥됐고 서식지는 왜, 어떻게 사라졌는지를 다양한 자료를 통해 뭉근하고 끈질기게 추적한다. 그의 또 다른 저서인 ‘문버드’처럼, 그저 ...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중입니다. 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학예연구사는 족두리풀 등 20여 종의 식물에서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해, 이 안에서 곤충을 죽이고 곰팡이를 제어하면서 인체나 문화재에는 해가 없는 물질을 찾았습니다. 올해 10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10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말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백신은 여전히 최선의 독감 예방책이다. 4가 백신은 B형 1종을 추가함으로써 3가 백신보다는 불일치 위험을 상대적으로 낮췄다. 예방 확률이 높은 4가 백신이냐, 가격이 싼 3가 백신이냐, 선택만이 남았다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만에 태양 근처를 지나며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냈다.분석 결과 러브조이 혜성에서는 총 21종류의 분자가 발견됐다. 그 중에는 술을 만드는 원료인 에탄올(C2H5OH)과 생명체의 주요 성분인 글리콜알데히드(CH2OHCHO)가 포함돼 있었다. 주저자인 니콜라스 비버 프랑스 LESIA 연구원은 “매 초마다 최소 와인 5 ...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라지죠. 작아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 모기는 생각보다 종류가 많아요. 무려 3500종이나 된답니다. 그 중 10%에 해당하는 모기의 산란기 암컷 모기만 사람의 피를 빨아먹고 살지요.또 우린 후각이 발달됐어요. 더듬이에 72개의 냄새 수용체가 있는데, 그 중 27개는 사람의 땀에 포함된 냄새를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