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몽티용 상을 받았다. 찰스 다윈도 ‘
종
의 기원’에서 내 이름을 언급하며 ‘타의 추
종
을 불허하는 관찰자’라고 추켜세웠을 정도다.찰스 다윈의 이름이 나온 김에 한 마디 해야겠다. 개인적으로 존경하고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그의 진화론만큼은 인정할 수 없다. 내 눈으로 직접 본 사실과 너무나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2. 최초의 도구 사용, 오스트랄로피테쿠스?오랫동안 최초의 호모 속 인류로 꼽히던
종
은 호모 하빌리스다. 이에 반해 호모 하빌리스보다 먼저 도구를 사용한 원인이 존재했다는 주장도 계속 있었는데, 최근 그 연대가 340만 년 전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기존보다 80만 년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우리의 곤충연구 역사는 60여 년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곤충은 약 1만4000여
종
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발견하지 못해 이름을 붙이지 못한 곤충들이 무수히 많다.앞으로 파브르처럼 신비로운 곤충에 흠뻑 빠진 미래 세대의 주인공들이 대한민국의 특별한 곤충에 관심을 갖고 관찰하여 ... ...
다람쥐 VS 청설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매우 닮았지만 서로
종
이 다른 친척이에요. 영어로 ‘스쿼럴(squirrel)’이라고 부르는
종
이 바로 청설모예요. 반면 다람쥐는 ‘칩멍크(chipmunk)’라고 부른답니다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취약한 특징이 대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죠. 가장 대표적인 예가 골든 리트리버예요. 순
종
교배만 하다 암이 잘 걸리는 친구들만 남았죠.사람들이 우릴 사랑하는 만큼 앞으로는 우리의 유전자 다양성에도 신경을 좀 써 줬으면 좋겠어요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연못은 빗물을 모은 뒤
종종
급할 때 사용하는 물 저장소였기 때문에 조상들은 이것까지 생각해서 연못을 설계한 것으로 보여요. 가능한 빗물을 많이 저장하고, 또 비가 많이 내릴 경우에는 연못이 넘치지 않도록 금강 쪽으로 배수구를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아파토사우루스와 브론토사우루스 화석을 비교해 보았을 때, 너무 비슷해서 다른
종
으로 볼 수 없다고 결론 지었어요. 그리곤 앞서 발견된 ‘아파토사우루스’라는 이름을 공식 명칭으로 정했지요. 그 이후로 무려 112년 동안 ‘브론토사우루스’라는 제 이름으로 불릴 수 없게 됐답니다.어떻게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2
종
이 전시돼 있었어요. 6월부터는 지구촌 첫 농사꾼이라 불리는 잎꾼개미 등 해외개미 6
종
도 추가될 예정이라고 해요.“어? 이게 무슨 냄새예요?”여러 개미들의 행동과 집을 관찰하던 중 희미하지만 묘한 냄새가 풍겨왔어요. 바로 불개미의 개미산 냄새였어요! 개미는 위협을 감지하거나 공격할 때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경쟁이 아니라 일
종
의 ‘공진화’를 한 셈이다. 또한 성 갈등은 생식계통을 변화시켜
종
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됐을 수도 있다. 논문의 말미엔 이런 구절이 적혀있다. “성 갈등이 진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우린 아직 모른다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전공수업인 ‘사회 불평등’ 과목이다. 22명이나 몰렸다. 경제 양극화의 배경과 인
종
이나 성적지향에 따른 차별 등을 배운다. 이공계생이 왜 사회학과 수업을 듣느냐는 질문에 채승(전기전산 3) 씨의 눈이 똥그래진다. “전 세계에서 가장 진보적인 운동이 일어났던 학교에서 사회 불평등을 어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