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으)로 총 1,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것이 더 좋다는 의견들도 있었다. 나의 경우 ‘내가 좀 더 나에게 따듯해지길’, ‘내가 나를 좀 덜 몰아붙이길’ 같은 이야기를 종종 외곤 한다. 여러분도 이번 기회에 스스로에게 진심으로 해줄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겠다. ※ 참고문헌 Marigold, D. C., Cavallo, J. V., Holmes, J. G., & Wood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2017.10.06
- 없게 되어 버리는 것 같다. 따라서 힘들 때일수록 일부러 특별히 맛있는 걸 챙겨먹거나 재미있는 드라마를 정주행 하고 12시간씩 자버리는 등의 행동이 필요하다. 내 삶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 같은 때일수록 삶의 기본부터 충실히 하도록 하자. ※ 참고문헌 DeBeer, B. B., Kittel, J. A., Cook, A., Davidson,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부분은 이런 비사회성을 보이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20-30대가 지나면서 특히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을 보이게 될 확률이 높았다는 점이다(24% vs. 1%). 하지만 아직 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특성이라 연구자들도 비사회성이 이런 정신질환과 관련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2017.09.17
- 쪽팔림을 느꼈다. 속상했다.’라고 내 마음 상태를 인정해 봤다. ‘내가 요즘 수고가 많구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었고, 의외로 이것만으로도 마음이 편해짐을 느낄 수 있었다. ※ 참고문헌 Ford, B. Q., Lam, P., John, O. P., & Mauss, I. B. (2017). The psychological health benefits of accepting negative emotions and thoughts: ...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2017.09.09
- 생각을 잠시 멈추는 습관을 한두 개쯤 만들어 보면 어떨까? 마음은 붙들지 않으면 지나치게 열심히 뛰어다니기 마련이고 삶의 질은 열심히 관리하지 않으면 언제든 떨어지는 것이니 말이다. ※ 참고문헌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2017.09.05
-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2017.08.13
-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외면하지 않고 돕는다는 것이다. 끔찍한 사건인 경우 끔찍함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사람들을 과각성 시키는 것이 되려 사건과 피해자를 외면하게 만들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든다. 또한 불행한 사건을 마주했을 때 감정 조절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정서적 측면을 자극하기보다 ...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2017.08.06
- 생각하는 편이다. 어쩌면 그래서 더 다음 날에도, 그 다음 날에도 계속 그 일이 생각나고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등 충격의 여파가 오래 가는 것일지 모르겠단 생각이 들었다. 다음부턴 억지로라도 잠을 청해봐야겠다. ※ 참고문헌 Grandner, M. A., & Drummond, S. P. (2007). Who are the long sleepers? Towards an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