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실정이다. 따라서 당분간 해법을 찾아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밀랍을 제거하겠다고 자칫
잘못
건드렸다간 더 큰 훼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문화재에 손을 대는 보수 및 수리에는 지켜야 할 엄격한 원칙이 있다. 그 대표적인 원칙은 원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 아무리 문화재를 위한다고 해도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보수 신뢰성 등을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중요연구분야로는 프로그램개발의 표준화,
잘못
된 프로그램의 자동체크, 기밀보호방식의 개발 등이다 소프트웨어가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최근에 정착한 학문이다지난 85년 프랑스가 적도상공 8백30km 고도에 띄워올린 관측위성(SPOT, Système Probatoire d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조종성과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디지털 비행제어 시스템은 조종사가 조종간을
잘못
작동시켜도 비행기가 자신의 비행상태와 조종면의 상황을 스스로 파악해 조종불능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지능적으로 자세를 제어해주는 일종의 인공지능이다. 아울러 디지털 비행제어 시스템은 인간이 조종할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실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사진의 모습과는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흔히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사실 중의 하나는 성운을 보면 사진처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망원경으로 보는 오리온대성운도 사진처럼 붉게 보이지 않는다. 성운이 붉게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유전자 이상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단백질이 만들어진 후 성숙과정이나 변모과정이
잘못
됐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유전자 변이 분석으로는 단백질의 이상 유무를 밝힐 수 없다는 말이다.학술과 응용의 두가지 관심단백질 연구는 이미 수십년 전부터 생화학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미국 화이트헤드연구소의 수잔 린드퀴스트 박사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광우병은
잘못
만들어진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프로테아솜에 이상이 생긴 결과 광우병을 일으키는 변형 프리온 단백질이 만들어진다.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소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다. 메탄은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삼국지의 대인관계를 배우고 있다. 그녀는 상대방이
잘못
했을 때도 직접적으로
잘못
을 지적하는 직설적인 화법이 부족해 대인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그런데 남편은 유 박사가 욕먹고 논쟁에 휘말릴 때마다 정확한 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 박사는 ... ...
왜 핵과학자들은 초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분석했던 결과를 재분석했다. 그 결과, 1996년에 발표된 원소 112의 첫번째 알파붕괴가
잘못
된 것 이지만 두원소의 발견은 확실한 것으로 밝혀졌다.니노브의 발견이 취소됨에 따라 원소 116의 발견 공로는 2000년 두브나의 오가네시안 그룹과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소의 무디 그룹에게 돌아갔다.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해하기 어려운 분야인 것이 사실”이라면서 “이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많은 학생이
잘못
된 지식을 갖고 몰리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원 소장은 현재 기업이나 대학의 생물학, 전산학 전공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한국정보통신대(ICU) 이관수 교수는 외국기업에서 ... ...
바이오 인포매틱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엄청난 양의 부와 명예를 함께 약속해주는 학문일까. 혹시 이런 기대가 지나치거나
잘못
된 것은 아닐까.바이오인포매틱스는 생명정보학 또는 생물정보(공)학이라고도 불리는데 아직 이름도 제대로 통일되지 않았을 만큼 따끈따끈한 생명공학분야다.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말 자체는 생명과학(bio-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