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서로 어울려 다양한 조직과 장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일부의 세포가 발달단계에서
잘못
된 쪽으로 발달하거나 외부의 자극에 의해 손상될 경우, 세포는 전체의 다른 건강한 세포를 위해 스스로 죽음을 택하게 된다. 따라서 세포자살 유전자는 항상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목적에서만 ... ...
스파이에겐 거짓말 탐지기 무용지물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실시한 조사 보고서에서 스파이 색출에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하는 것은 선량한 사람들을
잘못
기소하는 결과만 낳을 뿐이라고 발표했다. 거짓말 탐지기가 고도의 정확성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는 별 근거가 없었다는 얘기다.거짓말 탐지기는 거짓말을 할 때처럼 스트레스를 받는 ... ...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가운데는 멀리 시골에서 걸려온 친구 아버지나 형의 전화 목소리를 친구의 목소리로
잘못
듣고 농담을 건네다가 혼난 적이 종종 있을 것이다.컴퓨터로 분석한 목소리의 자료에서는 이런 동일한 목소리를 구분해줄 수 있을까. 만일 동일한 발음 구조와 발음 습관을 갖고 있다면 구분하기 어렵다.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있지 않았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다른 팀은 우선 상대팀에게 잘한 점부터 얘기한 후
잘못
된 점들을 지적했다.박영준 사람과 사람 사귐에 있어 개방적이라는 점이었다. 대회 중간에 참가자들이 뺏지를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이때 외국학생들이 낯설음과 언어장벽에도 불구하고 서로 마음을 ... ...
광우병 메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그리고 유전자조작기술을 통해 프리온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세포에서
잘못
만들어진 특정 단백질이 프리온 단백질에 변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변이가 일어난 프리온 단백질이 정상적인 프리온 단백질에 변이가 일어나도록 만들어, 결국 뇌와 척수가 파괴된다는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경우 네이처는 3쪽에 걸친 강력한 논문 게재 반대평을 받았다. ‘대다수 실험이 모델의
잘못
을 입증하기보다 모델을 옹호하기 위해 꿰맞춰졌다’는 엉뚱한 이유까지 거론됐다. 게다가 논문 게재를 찬성하지 않더라도 이처럼 많은 분량으로 반대평을 보내는 일은 흔치 않다. 이는 3명의 심사위원 중 ... ...
세계 영재석학이 전하는 과학 영재교육의 노하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학교에서 최대한 뒷받침해줬다. 그후 그 학생은 에레즈 교장을 찾아와 자신의 생각이
잘못
됐음을 스스로 인정했다. 그러나 이 과정을 통해 그 학생은 자신이 더욱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사고하는 법을 배웠다고 얘기했다고 한다.에레즈 교장은 학생이 실패를 경험함으로써 스스로 장해갈 수 있다고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상당 부분 자연적으로 흡수된다는 전망이 있다. 한편에서는 미국의 이익을 앞세운
잘못
된 연구결과라고 반박하고 있다. 과연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갈 것인가.화산 근처에서 연구하던 과학자들이 원인 모를 질병으로 죽어간다. 그런데 시체의 허파 속은 모래로 가득 차있다. 멀더는 그 병원균이 ... ...
인류 역사 재현하는 게임 창조주 김택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배려는 가십(gossip, 쑥덕공론)이 활성화될 때 생긴다고 본다. “흔히 연예인이 뭔가를
잘못
했을 때 처음엔 나쁘게 이야기하다가 차츰 아주 다양한 이야기, 즉 가십에 가까운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점점 동정심이 생기고 다시 배려하게 됩니다. 제가 보기엔 경제지의 75%, 전문지의 45%가 누가 무슨 ... ...
왜 통계물리학자가 단백질 연구에 매달릴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자기 고유의 모양 하나씩을 갖고 있고, 만약 그렇지 못하면 그 기능을 잃게 되며
잘못
된 모양으로 있을 경우 질병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처럼 우리가 알고 있는 상당수 질병이 바로 단백질의 구조 이상에서 비롯된다.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밝혀내는 일에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