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어발음 미국인처럼 할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배우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이다.더욱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영어를
잘못
배운 경우가 많다. 말은 입으로 소리내 귀로 듣는 소리말과, 눈으로 보는 글자 중심의 글말로 나뉜다. 언어가 사용되는 정도 등 여러 면을 고려하면 소리말을 배운 후 글말을 배워야 순서가 맞고 습득이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사가 탄생했다. 우리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롤러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라고
잘못
부르는 이유는 초창기에 롤러블레이드사의 제품이 널리 보급됐기 때문이다.V자 발 자세를 취하는 이유초보자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고 일어서기도 쉽지 않다. 우선 일어서기 쉬운 곳에서 스케이트를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물에 늘어뜨리고(懸垂) 이산화탄소를 보내서 만든다 인의 과산화산 과인산이라고
잘못
불릴 때가 있다 수용액은 불안정하지만 염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아질산염을 산성으로 하여 과산화수소로 산화시키면 이 물질의 수용액이 나온다 브롬화수소에 작용하여 브롬을 유리시킨다불안정한 화합물로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섹스가 없는 ‘무흠 수태’이지만 원하던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의 정자가 이용돼 ‘
잘못
된’이라는 말이 붙은 것이다.주라시 교수는 11일 오전 ‘인간 생식의 미래’라는 강연을 하기도 했는데 여기서 ICSI가 가져올 변화를 이야기했다. 주라시 교수는 평소 ICSI가 섹스와 생식의 분리를 가져올 ... ...
1. 외계탐사 전초기지 우주정거장 24시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아직까지 확실한 답이 없다. 물론 장기간의 우주여행에서 음식 섭취량과 음식 운반량을
잘못
계산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임에는 틀림없다.또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음식과 관련된 연구 중에는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우주선에서 식물을 키울 경우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 ...
고래 집단자살은 해군 음파탐지기 탓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착각을 일으켜 해안으로 몰려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더 고래가 방향을
잘못
잡아 육지로 향하면 뒤따르던 고래들도 하나 둘 해안가로 올라온다. 또는 모래해안으로 음파를 쏘아 보내면 고래에게 되돌아가는 음파가 모래에 모두 흡수돼 없어지므로 고래는 깊은 곳으로 착각하고 해안으로 ... ...
2. 불로장생 꿈꾸는 첨단 생약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발현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결국 자생식물에서 추출한 생약 물질이 유전자의
잘못
된 발현까지 조절할 수 있지 않을까.토종식물에서 추출한 전통약물의 개발은 이제 시작 단계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약용식물인 인삼에서 추출한 파낙시논 A라는 화합물이 비만에 효과가 있다는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있을 즈음, 분만실 안에서 ‘으앙’하는 아기의 힘찬 울음이 들렸다. 10개월 동안 혹시나
잘못
되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은 부인 품에 안겨 해맑게 웃는 아기의 모습에 눈녹듯 사라져 버렸다.병에 걸릴 ‘싹’ 미리 제거지금으로부터 10년 뒤의 상황을 묘사한 이같은 얘기에 마리아 병원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담긴 소중한 문화재로 보기보다 청자를 일확천금의 수단으로만 생각해온 우리의
잘못
된 가치관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그럼에도 이번에 인양된 청자 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것은 ‘청자 양각 연꽃잎무늬 원통형 잔’이다. 이 원통형 잔에는 입지름 7cm 내외, 높이 8cm 내외의 작은 것들과 입지름 10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않는 것이다. 눈에 렌즈가 들어 있다면 당연히 빛을 쪼였을 때 반사해야 마땅하다.
잘못
채집해온 이 수리거미의 눈에는 렌즈가 없었다. ‘렌즈가 없는 눈’. 이들은 호기심에 가득 차서 수리거미가 가진 이 눈의 기능을 알아보기로 마음먹고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새로운 비밀이 하나씩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