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무중력 상태가 되려면 약 5분 정도가 걸렸습니다. 총 8번의 무중력 상태에서 촬영하면서 27
초
가 지날 때마다 음악과 촬영을 멈추고 대기했던 것이지요. 그리고 사물의 위치와 특성을 기억해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 몰핑 기법을 이용해 뮤직비디오를 한번에 촬영한 것처럼 만들었습니다.매번 ... ...
Part 1. 1월 1일, 1
초
가 늘어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
초
가 늘어난다!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표현되던 세상이 무너지다견고한 철옹성 같은 2진법이 위협을 받기 시작한 건 20세기
초
미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쿠르트 괴델이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하면서부터였다. 수학자들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불완전성 정리의 골자는 ‘진리이지만 증명될 수 없는 수학적 명제가 있다’는 것이다.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측정하는 데 모두 이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것을 밝히는 데에도
초
신성 데이터가 이용됐는데, 만약 오차가 생각보다 훨씬 크다면 가속팽창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마저 제기된다(물론 아직까지는 많은 관측 증거가 가속팽창 우주모형을 뒷받침한다). 리스 교수팀의 결과가 맞고 ...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된다고 생각해 보세요. 별일 아닌 것 같지만 전기를 끊임없이 이용하는 분야에서는 단 1
초
만 전기가 끊겨도 엄청난 피해를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몇 시간에 걸쳐 진행 중인 수술실에서 갑자기 정전이 된다면, 끔찍한 상황이 벌어지게 되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구축했다. 이것을 활용하면 어떤 RNA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찾는 PCR의
초
기 진행을 수
초
로 단축할 수 있다.구 교수는 “앞으로 조류인플루엔자와 돼지콜레라 등 동식물 바이러스에 맞는 프라이머 데이터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보자. 약속~!▼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
초
가 늘어난다!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 ...
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땅 속 100m에 있다. 바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다. 양성자가 1
초
당 10억 번 충돌하도록 설계한 입자 가속기인 LHC는 1만 톤의 액체질소로 영하 193.2℃까지 냉각할 수 있으니 거대한 냉장고인 셈이다. LHC가 있는 터널의 총 길이는 27km이고, 지름은 약 3.8m다. 하지만 LHC 자체는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컴퓨터만 여러 대 있었다. 회사를 잘못 찾아온 게 아닐까 하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
초
’ 신선한 돼지고기를 식탁으로정육각의 CEO인 김재연 대표는 인터뷰를 시작하자 어떻게 해야 돼지고기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지 진지하게 설명했다. 그제야 회사를 잘못 찾아온 건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낄 수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하늘을 찍은 사진을 활용해 보정한다.암전류 문제 센서에 들어오는 빛을 가리고 300
초
동안 촬영하면 센서의 전기적인 성질로 인해 ‘암전류’가 생긴다. 촬영 대상과 별도로 촬영해 천체 사진에서 제거한다.편향 문제 센서를 빛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생기는 전기적인 잡음이다. 촬영 대상과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