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무료)특집 3파트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2
0
15.8)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
0
15
0
8N
00
4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Pa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없을 텐데요. 그 이유는 재미있는 성질이 많기 때문입니다. 먼저 연속하는 피보나치 수 1
0
개의 합은 항상 11의 배수예요. 연속된 두 수는 항상 서로소(공통된 인수가 없다)이고, 이 수를 비로 나타냈을 때 값이 황금비(1.618)와 비슷해요. 숫자가 커질수록 황금비에 가까워집니다.만약 처음 두 항을 2와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용어와 이론을 재미있게 설명했어요. 책에서 큰 수와 무한대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1
0
1
00
이라는 수를 떠올린 카스너는 이 수에도 알기 쉬운 이름을 붙이고 싶었어요. 어느 날 함께 산책하던 조카가 지어준 이름이 재미있어 그대로 책에 실었는데, 그 이름이 바로 구골이에요.구골은 검색 사이트 ... ...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28일자에 발표했다.저항변화메모리는 재료가 절연체에서 전도체로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0
과 1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는 장치다. 기존 소자는 도체 사이에 절연체를 샌드위치처럼 넣어서 3층 구조로 만들었는데, 연구팀은 알루미늄과 탄소섬유로 직물 형태의 소자를 만들 수 있었다. 실을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올 초 개봉했던 영화 ‘공조’는 북한 지도부의 비자금 조성을 위해 사용되던 달러 위조용 지폐 동판을 빼돌려 쫓기게 되는 장군의 이야기를 다뤘다. 정교한 지폐 동판으로 돈을 인쇄하면 현 ... 정기독자 무료)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2
00
4.8.)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
00
4
0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결핵체들이 자라기 시작한 거예요.가장 큰 2.7m짜리 결핵체가 자라는 데는 약 55
0
만 년 정도가 걸렸을 것으로 보여요. 일부 결핵체들은 성장 과정에서 표면이 크게 갈라졌고, 그 사이를 석영이나 방해석이 메우면서 마치 거북이 등딱지 같은 무늬를 갖게 됐답니다. △결핵체는 지층 사이에서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많답니다. 우주에서 무방비로 노출되면 사람에게 해가 되는 최소 방사선 수치의 2
0
배가 넘는 양을 맞게 돼요. 지구는 주변의 큰 자기장이 우주 방사선을 방어해 주지만, 라그랑주 점은 자기장 바깥에 있어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한답니다.가장 단순한 방법은 우주 정착선의 벽을 두껍게 만드는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하고 있답니다.새는 몇 가지 장점을 갖고 있어요. 우선 수명이 길어요. 꿀벌이 최대 15
0
일 사는 반면, 벌새는 최소 2년에서 최대 11년까지 살 수 있어요. 또 기억력이 뛰어나요. 캐나다 레스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벌새가 다른 새보다 해마의 크기가 5배 이상 크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해마는 뇌에서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
0
번 해바라기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웹사이트)에 올라왔으니 이 모든 일이 두 달도 채 되지 않은 사이에 벌어졌습니다. 197
0
년대만 해도 정보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이미 증명된 사실을 몇 년 후에 다른 사람이 또 증명하기도 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인터넷이 발전하다 보니 수학계에서 새로운 연구 도구가 눈 깜빡할 사이에 ... ...
[과학뉴스] 소아과학저널 (The Journal of Pediatrics)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태어난 아이들은 가장 많은 항생제 처방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소아과학저널’ 2
0
16년 12월 21일자에 나왔다. 한국 영유아들은 만 2살이 될 때까지 1명당 연평균 3.41건의 항생제 처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대상 6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0
.45건보다 7.6배나 많은 양이다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