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올 초 개봉했던 영화 ‘공조’는 북한 지도부의 비자금 조성을 위해 사용되던 달러 위조용 지폐 동판을 빼돌려 쫓기게 되는 장군의 이야기를 다뤘다. 정교한 지폐 동판으로 돈을 인쇄하면 현 ... 정기독자 무료)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2
00
4.8.)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
00
4
0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목성의 위성 유로파를 상상한 모습.유로파를 뒤덮은 얼음을 매개로 생명의 기원이 되는 분자가 합성될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
0
25년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착륙선을 내리겠다고 지난 2 ... 무료)[특집]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 (2
0
15.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
0
번 해바라기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웹사이트)에 올라왔으니 이 모든 일이 두 달도 채 되지 않은 사이에 벌어졌습니다. 197
0
년대만 해도 정보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이미 증명된 사실을 몇 년 후에 다른 사람이 또 증명하기도 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인터넷이 발전하다 보니 수학계에서 새로운 연구 도구가 눈 깜빡할 사이에 ... ...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28일자에 발표했다.저항변화메모리는 재료가 절연체에서 전도체로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0
과 1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는 장치다. 기존 소자는 도체 사이에 절연체를 샌드위치처럼 넣어서 3층 구조로 만들었는데, 연구팀은 알루미늄과 탄소섬유로 직물 형태의 소자를 만들 수 있었다. 실을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사람의 인지능력을 모방한 인공두뇌시스템이 개발됐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과 김성호 세종대 전자정보통신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의 뇌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휘거나 ... 사물인터넷(IoT)등 지능형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
0
.1
0
21/acsnano.6b
0
789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우주먼지는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온 1mm 이하의 작은 입자를 말한다. 지구에는 연간 약 1만4
000
t의 우주먼지들이 땅으로 내려앉고 있다(doi:1
0
.1186/ BF
0
3352491). 한반도는 지구면적의
0
.
0
6% 정도를 차지하 ... 정기독자 무료)‘별과 생명의 씨앗 우주먼지’(2
0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끝내 완성하지는 못했다. 그의 분투를 담은 미발표 원고 ‘선택의 본성’이 사후 2
0
년 만인 1995년에 출간됐다.집단 선택을 믿는다는 말씀이죠?초고를 읽으면서 해밀턴은 이 새로운 수식이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설명하는 데도 엄청난 역할을 할 것을 바로 직감했다. 이타성이나 이기성 같은 사회적 ...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결핵체들이 자라기 시작한 거예요.가장 큰 2.7m짜리 결핵체가 자라는 데는 약 55
0
만 년 정도가 걸렸을 것으로 보여요. 일부 결핵체들은 성장 과정에서 표면이 크게 갈라졌고, 그 사이를 석영이나 방해석이 메우면서 마치 거북이 등딱지 같은 무늬를 갖게 됐답니다. △결핵체는 지층 사이에서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많답니다. 우주에서 무방비로 노출되면 사람에게 해가 되는 최소 방사선 수치의 2
0
배가 넘는 양을 맞게 돼요. 지구는 주변의 큰 자기장이 우주 방사선을 방어해 주지만, 라그랑주 점은 자기장 바깥에 있어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한답니다.가장 단순한 방법은 우주 정착선의 벽을 두껍게 만드는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하고 있답니다.새는 몇 가지 장점을 갖고 있어요. 우선 수명이 길어요. 꿀벌이 최대 15
0
일 사는 반면, 벌새는 최소 2년에서 최대 11년까지 살 수 있어요. 또 기억력이 뛰어나요. 캐나다 레스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벌새가 다른 새보다 해마의 크기가 5배 이상 크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해마는 뇌에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