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알려졌다. 내가 파란 상자든 노란 상자든 그것이 비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얻을 가능성은 0이었다. 이런 상태에서 내가 얻은 ‘노란 상자가 비었다’라는 정보는 처음 ‘빨간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을 확률’을 바꾸지 못한다.그러므로 노란 상자가 비었다는 것을 안 다음에도 빨간 상자에 보물이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보낸다.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없다면 정보를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 0을 1로 하나만 잘못 보내도 큰 문제를 일으킨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는 정보를 받는 사람이 스스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 중 하나가 해밍부호다.해밍부호는 2진수 ...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람의 인지능력을 모방한 인공두뇌시스템이 개발됐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과 김성호 세종대 전자정보통신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의 뇌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휘거나 ... 사물인터넷(IoT)등 지능형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21/acsnano.6b0789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백문이 불여일견. 오른쪽 QR코드를 읽어들여 동영상부터 보자. 반투명한 고무풍선처럼 생긴 물건 안으로 빨간 물감을 주입하자, 풍선 안쪽의 혈관(?)이 드러난다. 구석구석 흐른 빨간 물감이 ... S201503N003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2016.7)dl.dongascience.com/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끝내 완성하지는 못했다. 그의 분투를 담은 미발표 원고 ‘선택의 본성’이 사후 20년 만인 1995년에 출간됐다.집단 선택을 믿는다는 말씀이죠?초고를 읽으면서 해밀턴은 이 새로운 수식이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설명하는 데도 엄청난 역할을 할 것을 바로 직감했다. 이타성이나 이기성 같은 사회적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 변화를 실험으로 확인했다.제임스 어낼리티스 교수는 비소화카드뮴 샘플을 약 100nm 두께로얇게 만든 뒤, 극저온, 초고진공에서 바일 준금속 상태를 구현했다. Q 양자물질 실험을 잘 하는 비결이 있다면.내 비밀 무기는 아주 뛰어난 학생들과 함께 연구한다는 것이다. 그게 핵심이다. 우리가 하는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무료)‘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2011.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104N008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다시 커지면서 물결 모양을 만들어요. 오르락내리락하다가 360°(=2π)가 되면 처음 자리인 0으로 되돌아옵니다. 그리고 다시 똑같은 그래프 모양을 반복해서 그리는 주기함수지요.y값이 사인이었다면, x값은 코사인, 사인을 코사인으로 나눈 값은 탄젠트입니다. 셋을 합쳐 삼각함수라고 하지요. 수학과 ... ...
- [과학뉴스] 인공생명체, 진핵생물로 ‘한 발자국’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효모의 유전자 중 30%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3월 10일자에 발표했다.Sc2.0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 영국, 중국, 프랑스, 싱가포르, 호주의 연구팀으로 구성된 국제 컨소시엄이다. 연구팀이 합성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로, 맥주나 와인 같은 술을 만들 때 ... ...
- [과학뉴스] 봄비가 박테리아 퍼뜨린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실험 결과 특정 토양, 비의 강도 조건에서 빗방울 하나는 접촉한 토양 표면의 박테리아 0.01%를 옮겼으며, 운반된 박테리아는 한 시간 이상 살아남았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에어로졸과 결합한 미생물은 기후 변화, 질병 전파, 수질·토양 오염 등 미생물의 지리적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