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만 4천km)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레이저의 또다른 특징은 많은 양의 에너지를 좁은
면적
에 집중시킬 수 있다는 것.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 금속을 자르거나 구멍을 뚫거나 용접할 수 있다. 또 안과병원에서는 조직을 상하지 않으면서 망막수술을 하기도 한다. 레이저로 암을 치료하는 것도 같은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지금이나 수영복은 남자들보다는 여자들에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피부를 덮는 수영복의
면적
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넓기 때문이다. 수영 속도가 빨라지면 그 만큼 물의 저항도 커진다. 따라서 수영복의 소재와 디자인은 수영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수영복은 처음에 흡습성과 신축성이 좋은 울로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되면서 중위도 지역의 기온이 올라가자 초원에 풀 대신 나무가 자라게 됐다. 점차 초원의
면적
이 줄어들자 먹이부족으로 대형 초식동물이 멸종하게 됐고, 뒤따라 이를 잡아먹던 대형 육식동물들도 멸종했다. 앨프리드 월리스(1823-1913)는 찰스 다윈(1809-1882)과 함께 자연도태에 의해 진화가 이뤄진다는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CCD카메라(해상도 15m, 지상에서 15m×15m인 물체의 크기를 한점으로 인식)를 달았다. 성능은
면적
CCD카메라를 단 1호(4백m)나 2호(2백m)보다 월등히 높아졌다. 또 세계적인 지구관측 상용위성인 랜샛(30m)이나 스폿(10m)과 해상도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뿐만 아니라 우리별 3호에는 우주고에너지입자검출기, ... ...
MPEG 영상압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0장씩 화면을 전송하기 때문에 앞 뒤장의 화면 중 많은 내용이 같고 공간적으로도 상당한
면적
의 색깔이 같은 경우가 많다. 반복되는 정보를 줄이면 상당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사람의 눈으로 미세한 부분이 변화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도 단순하게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구조에서 고층건물구조의 설계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우선 큰 나무는 밑동의 단
면적
이 크고 나무 뿌리가 나무의 줄기 만큼이나 깊고 넓게 뻗쳐 있다. 이 때문에 중력방향으로의 자체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바람에 넘어지지 않는 기초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나무가 속이 꽉 차 있는 ... ...
Ⅴ. 기록에 도전하는 건축 기네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가능하다면, 공기막 구조는 약 3백m의 스팬까지 가능하리라고 본다. 이 경우 이 공간의
면적
은 약 7-10ha(1ha는 1만${m}^{2}$)에 달해 그야말로 거대한 공간임을 짐작케 한다.또한 최근에는 지붕이 열리고 닫히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기후에 적응하는 거대 공간이 만들어지고 있다. 1989년 캐나다에서는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반경안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코흐곡선은 무한한 길이이므로 1차원 이상이고 유한한
면적
을 갖기 때문에 2차원 미만인 1.26 차원이라는 것이 수긍이 간다 ... ...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전기로 전달하는 전화의 발명(1876년)보다 1년 앞선 것이었다.영상을 전달하려면 동일한
면적
에 화소가 많아야 좋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케리의 영상전달기는 화소마다 각각 전선을 연결해야 했기 때문에 좋은 화상을 얻으려면 너무 많은 전선이 들어가는 게 최대 결점이었다.케리가 안고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두께가 얇을수록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존의 유전체 물질보다 작은
면적
에서도 용량이 큰 새로운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기존 재료의 두께를 더욱 줄여 유전상수를 증가시킬 경우, 박막이 너무 얇아져 전류가 예상치 못한 곳으로 새어나가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