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눈에 띄지 않지만, 수심 40m을 기준으로 할 경우 남북으로 약 1천2백m, 동서로 약 8백m로
면적
은 약 17만 3천여평에 이른다.1900년 영국 상선인 6천t급 소코트라(Socotra)호는 일본에서 중국 상해로 항해하다가 이어도의 암초에 부딪쳐 좌초됐다. 이를 계기로 이어도는 이 배의 이름을 따 소코트라 암초(Socotra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바이오스피어Ⅱ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바이오스피어Ⅰ)의 축소판이다. 이곳의 총
면적
은 1만 3천m2(약 서울의 21배)로 외부와 격리돼 있으며, 내부는 거주구역·농업구역·자연구역으로 구분돼 있다. 자연구역에는 열대우림·사바나·습지대·바다·사막의 다섯 생물권으로 구성돼 있다. 이 곳에서는 ... ...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원인인 양이온을 흡착하는 능력이 탁월하다고 밝히고 있다. 숯은 작은 크기라도 표
면적
이 매우 크기 때문에 금줄에 단 숯이 산모와 아기를 해로운 미생물로부터 보호하는데 충분했으리라 본다. 물론 고추는 상징적이다.사족이지만 금줄의 교훈 한가지를 덧붙이고 싶은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 ...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검은 분말을 흡인해 복사지 위에 영상을 만들어낸다.또 굴곡이 심한 복잡한 면이나 넓은
면적
에 고루 도료를 칠하는 정전도장(塗裝)도 정전기를 이용한 방법. 전기나 가스기구, 기계부품, 완구 등을 도장하기 위해서 10만V의 직류 전압을 걸어 정전기를 유도해 놓고 도료를 내뿜으면 고루 흡착된다.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추산되고 있다.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열대우림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0년동안 그
면적
이 20%나 감소되었다. 열대우림의 파괴와 생물종의 멸종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이 있다. 다양한 생물종들이 서식하던 생태 공간인 열대우림이 사라짐으로써 그곳에 살던 생물종까지 멸종되는 것이다. ‘천혜의 ... ...
사람이 풍기는 성적 냄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황갈색의 점막이다. 점액, 즉 콧물 덕분에 축축한 얇은 막은 후각상피이다. 후각상피의
면적
은 약 2.5cm²에 불과하지만 냄새를 감지하는 뉴런 (신경세포)이 5백만개 있다. 후각이 예민한 개는 2억2천만개로 인간보다 44배나 많다.이러한 후각세포는 뇌를 구성하는 뉴런과 유형이 같다. 그러나 뇌의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건설되는 건물의 수준 오차는 전체 규격의 0.2% 남짓인데 비해 대피라미드는 전체 밑
면적
에서 겨우 0.03% 정도의 오차를 보여준다.즉 대피라미드 건설에 적용된 기술과 기능이 오늘날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이다.이런 면에서 일부 고고학자들은 당시 이집트인들의 기능적인 능력을 극찬하면서 그들이 ... ...
열과의 전쟁, 실내 온도 60°C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장치해 놓은 것이다. 핀을 장치한 이유는 공냉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기와의 접촉
면적
을 최대한 많게 하기 위해서다.냉각수의 온도는 정상적일 경우가 80℃에서 95℃ 사이. 라디에이터와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물펌프만으로는 이 온도를 계속 유지하기가 어렵다. 계속 달린다면 바람으로 이 온도가 ... ...
인간전지 만들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때문에(일반 전지는 아연봉을 사용)단위 체적당 반응물질도 많고,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면적
도 넓다. 따라서 일반 건전지보다 수명이 3-8배 길다.수은 전지도 아연이 산화전극으로 쓰인다는 점에서는 일반 건전지와 유사하지만 화원 전극으로 산화 수은이 사용된다는 것이 다르다. 수은전자는 열을 ... ...
5. 화성 생명체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87℃에서 최고 기온 17℃)인 혹한에서 살아남기 위해 온도가 낮은 밤에는 잎을 말아 표
면적
을 줄여 열손실을 최대한 줄인다. 낮에는 잎을 펼쳐 대기의 95%를 차지하는 CO₂를 흡수하고 O₂를 내뿜으며 광합성(탄소동화)을 해 포도당을 합성한다. 밤에는 호흡만 한다.그러나 이들은 지구보다 불리한 조건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