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 우주 산업의 ‘별’ 모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악셀스페이스’의 나카무라 유야 대표는 13일 기조연설을 통해 “2023년까지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하루 한 차례 촬영할 수 있는 마이크로위성 네트워크인 ‘악셀글로브(AxelGlobe)’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드론 택시에 들어가는 전기항공기용 배터리 모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목표 외에도 ITER와의 협력 연구, 더 나아가 앞으로 실현될 핵융합 발전에 필요한 모든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실제로 KSTAR는 ITER 건설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축적해왔다. 그전까진 아무도 시도하지 못했던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기술을 최초로 구현해낸 것이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덧붙였다. “이제는 ‘너희가 왜 AI를 연구해?’라는 질문은 옳지 않은 것 같아요. 모든 분야에서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는 다른 방식으로 풀던 것을 AI로 풀어 보는 거죠. 물론 다 잘 되진 않겠지만, 더 진보할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수많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봅니다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대안은 마땅치 않다. 충돌을 막으려면 인공우주물체의 궤도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 모든 물체의 궤도를 파악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수명을 마치고 궤도를 떠도는 비활동 위성이나 조종이 불가한 물체는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들은 지구에서 관측해 궤도를 알아내야 하는데 그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자율주행 환경이 복잡할수록 인공지능의 정답 추정률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자율주행차가 복잡한 환경에서 주행하는 것은 아니다.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물류 셔틀처럼 차량이 적고 정해진 거리를 달리는 경우 굳이 고사양의 시각인지 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 과목을 습득하는 데 225~270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학교에서는 6학기, 즉 3년 안에 모든 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하는 것을 기대하지만, 실제 학생들은 평균 8~9학기를 다닌 뒤에야 졸업한다. 카를스루에공대는 중간고사가 없고 기말고사만 있다. ‘삼진 아웃’ 제도라서 시험에서 3번 낙방하면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채식인들은 채식주의에 기반해 각자 실천할 수 있는 만큼 채식의 단계를 선택해요. 이중 모든 동물성 식품을 일체 먹지 않는 사람을 ‘비건’이라고 해요.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는 대표적인 비건이었어요.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채식주의’라는 말이 없어 채식을 ...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시작해, 코로나19로 끝난 한 해였습니다. 우리 주변 모든 일상에 변화가 일었고, 과학계 역시 많은 변화를 겪었죠. 과학동아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럼에도 과학동아는 코로나19뿐만 아니라, 그에 가려진 전 세계 과학 이슈들을 끄집어내 독자들에게 전하려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과일이 땅에 떨어지는 소리, 오가는 인간의 목소리, 비가 오는 소리 등 국립공원 내의 모든 소리가 담긴다. 이 중 연구팀이 관심 있는 데이터는 코끼리가 내는 소리다. 코끼리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10Hz 내외의 초저주파로도 의사소통을 한다. 이 소리를 통해 코끼리의 수를 추정할 수 있고, 코끼리의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천체는 자체 중력에 의해 점차 수축하면서 특이점이라는 한 점으로 수렴하고, 주위의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는 것을 수식으로 증명합니다. 펜로즈는 이를 ‘특이점 정리’라고 불렀죠. 1965년에 발표된 이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인 존재일 거라 생각했던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줬습니다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