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연구하는 기민형 고려대 컴퓨터학과 미디어연구실 석박사통합과정연구원은 “물체의
모든
운동에 일일이 힘을 정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중력과 저항력 같이 시스템 내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설정해 물체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과정을 줄이면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이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밝힌 덕분에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검증하고, 최적화된 치료제를 완성하는
모든
단계에서 항바이러스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더 나아가 기초과학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치료제를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기자의 참패. 기자가 9개 문제를 푸는 데 35분 34초가 걸린 반면, AI 앱은 3분 27초 만에
모든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 일부러 손글씨로 작성된 수학 문제를 준비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앱은 딥러닝에 기반한 광학 문자 인식(OCR) 기술로 지면에 적힌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읽어냈다.광학 문자 인식은 AI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진행됩니다. ❹ 프로토타입과 테스트를 통해 아이디어 보완하기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제품은 시장에 나오기 전에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디자인 싱킹 프로젝트 역시 문제를 해결할 제품을 최종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검증하는 단계가 필수적입니다.프로토타입을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애니메이션 관련 굿즈(상품)를 사러 가는 등 외출로 쓰는 돈이 꽤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취미를 멈추고 필수 생활비로 쓰고 남은 금액은 저축하고 있다.도쿄대 학비는 한 학기 당 50만 엔(약 540만 원)정도다. 자비로 이 학비를 내고 다니는 사비유학생은 거의 없고, 대부분 국비유학생이다. ... ...
[수학뉴스] 우주비행사 인체 메커니즘 수학 모형으로 밝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있습니다. 중력이 0에 가까워 근위축증, 골감소증, 심혈관계 기능 저하 등을 비롯해 거의
모든
신체 기관에 문제가 일어납니다. 그런데 이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수학 모형으로 제시한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이탈리아 토리노 폴리테크니코 기계및항공우주공학과 연구팀은 수학 모형을 이용해 ... ...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다룰 때 중요한 것은 단순한 숫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값이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통계 분포 안에 들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가름하는 거예요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있거든요. 또 교류 전기 시스템은 직류 전기 시스템과 달리 병렬 방식으로 연결하면
모든
전선에 똑같은 크기의 전압을 보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집을 거치면서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거죠. 테슬라는 이 방법으로 모두가 저렴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랜 주도권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진로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있습니다.오늘은 수학과 관련된 진로를 선택할 때뿐만 아니라 인생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모든
순간에 수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봤습니다. 그러니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수단으로만 수학을 대하기보다 좀 더 마음을 열고 수학을 즐기면 어떨까요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어진다. 김 교수는 “집합은 과거 철학자들이 고민한 개념으로 ‘수학에 등장하는
모든
개체가 결국은 집합’이라는 그들의 아이디어가 독자에게 새로운 수학적 사고를 깨워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에게 이토록 열정적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이유를 물었다. “재밌어서”라는 간단한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