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보글보글 인생라면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라면의 토핑은 한 번에 두세 가지를 넣을 수 있어서 모든 경우의 수를 세야 해요. 예를 들어 토핑을 안 넣는 경우 1가지, 토핑을 1개 넣는 경우 4가지, 토핑을 2개 넣는 경우 6가지, 3개 넣는 경우 4가지, 모두 넣는 경우 1가지로 총 16가지(1+4+6+4+1)의 경우의 수가 생깁니다. 육수와 면은 하나씩만 선택할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살다 보면 ‘나보다 월등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는 거예요. 고등학교 성적이 우수한 친구들이 모인 대학교에 가면 그중에서 뛰어난 친구가 있을 테니까요. 그때가 왔을 때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내가 못 할 수도 있구나’라는 사실을 인정할 때가 진짜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슬로우 수학, 도전해볼까요?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푼다면 우리는 햄버거만 오랫동안 먹은 감독처럼 ‘수학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예를 하나 들어보죠. n각형의 대각선 개수를 구하는 공식은 입니다. 이 공식을 암기해서 사용하는 사람은 대각선의 개수는 구할 수 있지만,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가 n-3이라는 것과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929년 설립된 미국의 잭슨연구소는 실험용 쥐를 전 세계에 공급하는 대표적인 연구소예요. 연구소에선 순종 쥐의 족보를 관리하고, 유전자가위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해 유전자변형 쥐도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손 안 대고 종이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자석을 잡아당겨요. 만약 로봇이 이 힘만 받으면 냉장고 속으로 파고 들어가 버릴 거예요. 다행히 로봇은 냉장고가 자석의 힘과 같은 크기로 로봇을 밀어내는 ‘수직항력’도 받아요. 이 때문에 로봇은 냉장고 면을 파고들지 않는답니다.이 수직항력 덕분에 냉장고로봇이 받을 수 있는 최대 마찰력도 ... ...
- 영구동토 속에 좀비 생명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영구동토 속에 숨어있는 좀비 생명체?! 일부 생물에게 영구동토는 냉동실 같은 존재예요. 살아있는 모습 그대로 꽁꽁 언 채 영구동토층에 보존돼 있다가 다시 살아나기도 하거든요. 2018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아나스타샤 샤틸로비치 연구원은 러시아 알라제야강 근처의 영구동토층에서 3만~4만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값이다. 즉 무게가 같다면 표면적의 마찰계수에 따라 미끄러지는 속도가 달라진다. 한 예로 빙판은 맨땅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같은 물체라도 빙판 위에서 더 잘 미끄러진다. 그렇다면 왜 빙판은 마찰계수가 작을까. 빙판이 미끄러운 이유는 표면 액체의 ‘점성’ 빙판의 마찰계수가 작은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물질들이 필요하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입자 표면의 영향은 커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는 부피와 겉넓이의 비가 10:6이지만, 한 변의 길이가 1cm인 정육면체는 그 비율이 1:6으로 크기가 작을수록 겉면의 비중이 크게 뛴다. 즉, 퀀텀닷은 입자 표면이 퀀텀닷 ...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첫 문제는 제가 박사과정을 막 시작했을 때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생각에 대한 문제예요. 문제의 상황이 기댓값에 대해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여부에 상관없이 누구나 배워 활용할 수 있고 여러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분야예요. ‘알파고’나 ‘왓슨’ 같은 AI가 발전하면, 앞으로 사람이 계산 문제를 풀 일은 없을지도 몰라요. 결국 AI를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해 질 겁니다. 즉,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이 중요하죠. 이를 키우려면 문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