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대칭 구조를 분석하고 예측합니다. 대칭적인 평면의 벽지 무늬를 분석한 ‘벽지군’은 예술과의 접점도 있고요. 이런 군론의 토대는 젊은 나이에 삶을 마감한 비운의 수학자 에바리스트 갈루아가 만들었는데요, 갈루아는 군론을 통해 5차 방정식에서는 일반적인 근의 공식이 없다는 걸 밝혔습니다. ... ...
- 보드게임 즐기고, 수학으로 떠들자! 보드게임 페스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용해 1, 2, 5, 8 조합을 찾고 색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82가 적혀 있는 카드는 뒤집으면 58이 되고, 180° 회전하면 28이 되기 때문에 어떤 카드로 조합을 만들지 열심히 머리를 굴려야 하죠. 게임을 시작하자 금세 강의실이 시끌벅적해졌어요. 서로 가위바위보를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값이다. 즉 무게가 같다면 표면적의 마찰계수에 따라 미끄러지는 속도가 달라진다. 한 예로 빙판은 맨땅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같은 물체라도 빙판 위에서 더 잘 미끄러진다. 그렇다면 왜 빙판은 마찰계수가 작을까. 빙판이 미끄러운 이유는 표면 액체의 ‘점성’ 빙판의 마찰계수가 작은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있는 편이지만, 자칫 그렇지 못한 경우는 위험할 수 있다. 유전자 변이의 빈도에 근거한 예측이기 때문에 한국, 일본 중국인 중 실제로 많은 사람이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으나, 최소한 의사들이 약물을 처방할 때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일 수는 있다. 게놈아시아 100K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명의 성과 데이터와 AI 면접 결과 데이터를 학습해 이를 기반으로 응시자의 미래 성과를 예측한다”고 설명했다. 결과지에서 납득할 수 없는 내용은 또 있었다. 응시자의 역량을 해석한 결과에서 ‘말투와 표정에서 신뢰를 주지 못하는 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자기소개나 지원동기 등을 답변할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안국약품과 공동으로 항암 효과가 있는 작용제 후보 발굴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예 교수는 “작용제 분리 기법을 이용해 작용제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목표”라며 “최근 암 치료 물질로 주목받는 엑소좀(exosome) 등에도 항체를 접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공부의 골든타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왜 그런지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근거를 찾아본 사람은 쉽게 흔들리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의사’와 같은 구체적인 꿈을 설계하고,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수학의 기초를 확실히 다져야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929년 설립된 미국의 잭슨연구소는 실험용 쥐를 전 세계에 공급하는 대표적인 연구소예요. 연구소에선 순종 쥐의 족보를 관리하고, 유전자가위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해 유전자변형 쥐도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손 안 대고 종이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자석을 잡아당겨요. 만약 로봇이 이 힘만 받으면 냉장고 속으로 파고 들어가 버릴 거예요. 다행히 로봇은 냉장고가 자석의 힘과 같은 크기로 로봇을 밀어내는 ‘수직항력’도 받아요. 이 때문에 로봇은 냉장고 면을 파고들지 않는답니다.이 수직항력 덕분에 냉장고로봇이 받을 수 있는 최대 마찰력도 ... ...
- 유적의 연대를 파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설정해 놓은 연대표와 방사성탄소를 이용해 얻어낸 연대표가 서로 다른 대표적인 예가 ‘야요이 시대’입니다. 기원전 300년 전후부터 서기 300년 전후로 추정되는 시기로, 벼농사와 금속사용이 시작된, 일본 역사에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한국인이 벼농사 기술을 일본에 전파했다는 학설도 있어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