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그랬고요.하지만 이 위대한 수학자도 모든 걸 예측할 순 없었는데요, 23가지 문제를 발표하며 힐베르트는 이런 말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리만 가설(8번 문제)은 몇 년 안에 해결될 것이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여러분의 자녀가 죽기 전에, ab가 초월수라는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타임 패러독스’, 혹은 ‘시간여행 역설’이라 불러요. 시간여행 역설에는 위에서 든 예 말고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요.를 포함해서, 수많은 SF 소설과 영화들이 시간여행 역설을 다루고 있어요. 하지만 시간여행 역설은 소설가뿐만 아니라 물리학자들에게도 중요한 문제랍니다. 우리가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사물이 반사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형태나 소재 등을 알아낼 수 있는 카메라다. 예를 들어 무인기로 적군 탱크의 정체를 파악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적군의 탱크 중에는 진짜인 것도 있지만 나무나 풍선으로 만든 가짜 탱크도 있는데, 기존의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카메라로 상공에서 관측하면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형태가 변할 뿐 만들어지거나 파괴되지 않는다’는 열역학 제1 법칙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 소개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압축된 이산화탄소 기체도 이산화탄소 인젝터 바깥으로 나오면서 부피가 급팽창하기 때문에 온도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지뇽쿤 님이 구매한 인젝터의 손잡이 부분에는 EVA라는 ... ...
- [수학뉴스] 12세 소년의 발견!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했을 때 7이 나오면 그 수는 7의 배수라고 판정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2996은 299+(6×5)=329, 32+(9×5)=77, 7+(7×5)=42, 4+(2×5)=14, 1+(4×5)=21, 2+(1×5)=7이므로 7의 배수임을 확인할 수 있는 거죠. 새로운 판정법을 발견한 치카는 2019년 11월 9일 매년 뛰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바로 ‘극한’입니다. 극한은 어떤 변수(n)가 특정 값(a)에 가까워지는 걸 말합니다. 책을 예로 들어 보죠. 책은 얇은 종이로 이뤄져 있는데요, 종이 한 장의 옆면은 선분과 같습니다. 그 선분들이 쌓이면서 면이 생겨 책의 옆면이 되죠. 마찬가지로 밑변의 길이가 0에 가까운 직사각형을 선분이라고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압축됐다. 다스 베이더가 1575명 이상, 그의 스승인 다스 시디어스가 1350명 이상과 연결돼 예상 밖(?)으로 악의 세력이 더 마당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루크가 뒤를 이어 약 1300명과 연결됐고, 레아는 약 1000명과 관계를 맺었다. 스타워즈 등장인물의 78%는 인간 종족연구팀이 등장인물의 종족과 출신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에 구멍이 났다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활용하길 바랍니다.물론 여기 제시한 방법이 모든 학생들에게 맞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예를 참고해서 본인의 성향에 맞는 방법을 생각해보고 추가하거나 빼도 됩니다. 다만 공부 방법을 선택할 때 절대 잊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기준은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방법인가?’입니다. 수학은 ... ...
- 고양이 눈을 가진 물고기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파푸아뉴기니에서 처음 발견된 먹테얼게비늘 종 시파미아 아르나제(Siphamia arnazae)예요.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 연구팀이 2019년에 새롭게 발견한 71개의 동식물 중 하나지요. 섀넌 베넷 박사는 “지구를 수십 년 동안 수색하고 있지만, 지구상의 자연종 90% 이상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예상은 잘 안됩니다. 하지만 과학의 매력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Never predictable(전혀 예상할 수 없는)!’ 저는 자신의 연구가 어디서 어떻게 활용될지 모른다는 점이 과학 연구의 가장 신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과학일수록 아주 좁고 한정적인 분야에서 나온 연구 결과가 나중에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