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만든 옷이 중국 국제 패션 디자인 혁신 대회에 나가 2
위
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심사
위
원 중 일부는 AI가 디자인한 옷이 세계적인 패션쇼에 나갈만한 수준이라고 칭찬하는 동시에 AI가 아직은 디자이너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을 거라는 의견을 남겼죠. AI가 만드는 패션의 미래미국의 데이터 콘텐츠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같은 사진은 4월 15일을 검색하면 나오는 ‘면사포성운’의 모습이지요. 날짜를 검색하면
위
사진과 함께 2015년 4월 15일에 찍힌 이 성운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여러분의 생일엔 어떤 천체가 찍혔을까요? QR 코드를 찍고 확인해 보세요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지요.그런데 이번에 온대우림의 흔적이 발견된 백악기에는 남극의
위
치가 현재와 그리 다르지 않았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백악기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훨씬 높아 온실효과가 강했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연구팀이 퇴적층에서 발견된 식생을 토대로 백악기의 기후를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상
위
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그만큼 절약된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이미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위
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개발 중인 북극해 해빙 지도와 해빙 변화 예측 자료는 북극 항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북극의 환경을 지키면서도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연구인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채널 설명에는 ‘K팝의 톱 보이그룹에서 춤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분석하기
위
해 머신러닝과 수학을 사용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인공지능(AI)으로 군무 일치도를 분석했다는 것이죠. 호주 변호사라는 채널 운영자가 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만들었는지 과학동아가 e메일 인터뷰를 ... ...
푸드파이터의 폭식, 훈련하면 늘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GO!”장내 아나운서의 짧고 굵은 신호와 함께 경기가 시작됐다. 앞을 보고 일렬로 서 있던 5명의 건장한 남성은 동시에 (막대기가 없는) 핫도그 ... 비만이 되거나, 메스꺼움과 구토 등 소화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심할 경우
위
절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doi: 10.2214/AJR.07.234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연구팀은 심해어가 포식자의 눈을 피하고, 먹이 사냥 중에 더 은밀하게 움직이기
위
해 빛 반사율이 극도로 낮은 울트라블랙 피부를 갖도록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반사율 0.045%현존 최강 울트라블랙 소재, ‘반타블랙’ 연구자들이 울트라블랙을 연구하는 건 단순히 호기심 때문만은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
조직에서 헬리코박터균의 DNA를 확인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
암의 원인균으로 사람의
위
속에 살고 있다. 2020년 현재 국내 성인의 절반가량이 헬리코박터균을 갖고 있는데, 수백 년 전에도 갖고 있었다는 게 증명된 셈이다. doi: 10.1127/anthranz/2018/0780올해 초에는 경기 광명에 있는 조선시대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측정 나노 온열 패치가 치료에 집중한 기술이라면 두 번째로 개발한 기술은 진단을
위
한 의료기기다. 연구단은 스트레스 수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b2891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