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같은 사진은 4월 15일을 검색하면 나오는 ‘면사포성운’의 모습이지요. 날짜를 검색하면 위 사진과 함께 2015년 4월 15일에 찍힌 이 성운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여러분의 생일엔 어떤 천체가 찍혔을까요? QR 코드를 찍고 확인해 보세요 ...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상위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험이 따른다. 향후 인공위성 원격탐사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이유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남극 대륙 전체의 빙하 변화를 정량화해 해수면 상승을 예측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난센 빙붕에서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행동은 바이러스 감염 전보다 절반으로 줄었다. 연구팀이 꿀벌의 면역체계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꿀벌과 같은 행동을 보였다. 즉, 꿀벌의 이런 행동은 일종의 사회적 면역방어 반응이라는 뜻이다. 벌은 본능적으로 슬기로운 벌집 생활을 해나가고 있는 셈이다. ... ...
- [매스크래프트] #8. 광복절 75주년 특집!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태극기 작도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길이만큼 컴퍼스를 벌려 길이를 옮기며, 점 a, b, c, d로부터 옮긴 길이만큼 떨어진 대각선 위에 점을 표시합니다. 그런 다음 그 점에서 대각선과 수직인 직선을 태극 지름 길이의 1/2만큼 그리면 되는 거죠. 그런데 괘를 이루는 막대 하나를 보면 짧은 길이가 태극 지름 길이의 1/12이고 막대 사이 간격은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종류를 암기해야 하지만 형의 마술보다 훨씬 간단하죠? 마술을 더 신기하게 만들기 위해 팁을 한 가지 줄게요. 똑같은 카드 뭉치를 여러 벌 만들어 겹친 뒤 여러 장처럼 보이게 하면 더 신기해 보인답니다.여러 벌 겹쳐도 마술을 하는 방법은 바뀌지 않아요. 그 이유는 여러분이 한 번 생각해보세요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보상체계가 거의 없고 단순한 자극으로 주의력을 높이는 것이 주요 목적이어서 중독 위험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치료용 게임의 효과를 맹신해서는 안 된다. 시중에 개발된 치료용 게임은 무수히 많다. 미국 버밍엄 앨라배마대 정신과학 및 행동신경생물학과 연구팀이 2017년 발표한 논문에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내가 분명 읽은 책인데 내용이 제대로 기억나지 않은 적, 없었나요? 이럴 때를 대비해 짧게라도 책 내용과 감상을 기록하는 분들, 있을 겁니다. 사람마다 책을 기억 ... 리뷰박서연(9세)·박하연(8세) ‘괴짜 과학자들의 기상천외한 죽음 실험실’ 리뷰이동규(28세) ‘더 위험한 과학책’ ... ...
- [기획] 역원을 알아야 풀린다! 끈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역원은 각각 점 a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A-1, 점 b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은 B-1이에요. 위 곡선은 점 a와 점 b를 순서대로 시계방향으로 감은 뒤 다시 두 점을 반시계방향으로 감았으므로 ABA-1B-1로 나타낼 수 있어요. 이때 A와 그 역원 A-1이 곱해져 1이 된다는 건, 시계방향으로 꼬았다가 다시 ... ...
- [팩트체크] 올해 역대급 폭염 찾아올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이상 한파가 덮치는 기상 이변이 계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지구의 노력으로 나타나는 기후 현상이 과거와 달라졌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 중 하나로 지난 100년간 화석연료 사용과 같은 인류의 활동이 불러온 지구 온도 상승세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