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실제로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3세대 DNA 해독 기술의
위
력이 빛을 발했다.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은 미니온 장비로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RNA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해 국제학술지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순간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핵에 침입한 후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요. 그리고 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밖을 나가면서 숙 ... 순간을 포착했어요.
위
사진을 찍은 연구팀은 “앞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기
위
해 더 노력할 것”라고 말했답니다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같은 사진은 4월 15일을 검색하면 나오는 ‘면사포성운’의 모습이지요. 날짜를 검색하면
위
사진과 함께 2015년 4월 15일에 찍힌 이 성운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여러분의 생일엔 어떤 천체가 찍혔을까요? QR 코드를 찍고 확인해 보세요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상
위
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현재로서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가 남극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아무도 모른다.
위
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를 발 빠르게 추적하며 그 답을 찾고 있다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
위
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보컬의 음정 안정성을 분석하거나, 안무 난이도를 분석하는 등 더 다양한 분석을
위
해 알고리즘을 업그레이드할 예정입니다. 또 최근에는 K팝 댄스 동작을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AI도 만들었습니다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
조직에서 헬리코박터균의 DNA를 확인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
암의 원인균으로 사람의
위
속에 살고 있다. 2020년 현재 국내 성인의 절반가량이 헬리코박터균을 갖고 있는데, 수백 년 전에도 갖고 있었다는 게 증명된 셈이다. doi: 10.1127/anthranz/2018/0780올해 초에는 경기 광명에 있는 조선시대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측정 나노 온열 패치가 치료에 집중한 기술이라면 두 번째로 개발한 기술은 진단을
위
한 의료기기다. 연구단은 스트레스 수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b2891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만들어 낸 한 가지 가능성입니다. 특이점의 도래를 주장한 SF작가 버너 빈지의 ‘심연
위
의 불길’, 찰스 스트로스의 ‘아첼레란도’와 ‘유리 감옥’, 앤 레키의 ‘사소한 정의’, 테드 창의 단편 ‘인류 과학의 진화’, 비교적 최근에 개봉한 영화 ‘트랜센던스’ 등 여러 작품이 특이점을 직접 ... ...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없애기
위
한 노력도 하고 있고요. 중국은 국경과 인접한 파키스탄의 메뚜기 떼를 막기
위
해 천적인 오리를 파견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지요. 오리 한 마리가 하루에 메뚜기 200마리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파키스탄의 피해지역은 사막이라 건조한 지역을 견디기 어려운 오리는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