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d라이브러리
"
지상
"(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매우 중요하다. 실제 발사 후에 힘과 압력이 제대로 나오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총 5회의
지상
연소시험을 거쳤다. 최종 2회는 실제 발사될 로켓의 추진기관과 동일한 규모로 실시했다.항공우주연구소는 1단형 과학로켓 개발로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1993년 11월부터 2단형 중형로켓 개발에 착수했다.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세포를 융합시키고 그 융합세포를 배양기에서 키워 식물체로 한 것이다. 이 식물체의
지상
부에 토마토의 열매가 열리고 지하부의 줄기가 감자와 같이 되면 그야말로 일석이조인 셈이다.동물의 경우 인공 키메라 동물이 있다. 유전학이나 발생학에서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정란에서 유래하는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개발하여 인류에 공헌했다. 그 이래 천연두는 1977년 10월 소말리아에서 최종발생한 뒤
지상
에서 영원히 소탕되어 1979년 1월 이후는 우두접종에 대한 강제성이 폐지됐다.1885년 루이 파스퇴르(Loui Pasteur)가 광견병(일명 공수병) 예방약을 개발하여 인류에 공헌했고, 1937년 타일러(Theiler)와 스미스(Smith)는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그 당시 알려져 있었던 지구의 공전 지름을 그 시간으로 나누면 빛의 속도가 된다(그림1).
지상
에서 최초로 빛의 속도를 잰 사람은 피조우다. 그는 톱니바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톱니바퀴 사이로 빛을 보내 멀리 떨어져 있는 거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지극히 짧은 시간을 재는데 성공했다. 톱니를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움푹 파인 지형으로 온통 덮여 있었던 것이다(그림1).당시 생각으로는 우주는 천상계와
지상
계로 구분돼 있으며 천상계는 완전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달의 모습은 천상계가 완전 무결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그는 이를 토대로 관측을 계속해 은하수 관측, 태양 흑점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차량의 속도가 시속 2백㎞ 이상 되는 고속에서는
지상
신호기 방식은 적당치 않게 돼
지상
의 제반 운전조건에 구간별 허용속도를 차량으로 전송, 기관석에 표시하는 차상신호방식(車上信號方式)을 사용하게 된다.열차 자동제어 장치(ATC)일반철도에서는 기관사의 실수로 정지지점을 통과한 경우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통신이 원활해진다.우주공간에서 레이저는 앞으로 유력한 통신수단이 될 것이다.
지상
에서와 달리 우주공간에서는 레이저가 흩어지지않고 수만㎞ 직진하므로 장거리 통신수단으로도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레이저통신은 역사가 25년을 넘지만 이제 막 빛을 보고있는 단계다. 원산지인 미국에서도 8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다른 때보다 무척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 같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단지 정지된
지상
의 물체 사이를 움직이기 때문에 느낌이 그럴 뿐이지 중천에서 움직일 때와 마찬가지 속도다.토성이 지는 시각은 1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각각 21시 7분(1일) 20시 32분(11일) 19시 58분(21일) 19시 24분(31일)이다.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달 수 있는 31개의 핀을 갖추고 있었다.이 망원경은 우주왕복선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상
으로부터 6백㎞ 떨어진, 낮은 고도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접근이 용이한 대신 이 고도에서는 하늘의 반을 지구가 덮게 되어 천체의 절반 이하만을 관측할 수 있다.우주인에 의해 고장 수리를 하는 데에도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얻기 위한 능력을 하나씩 쌓아가는 것이 지금의 우리가 준비해야 할 일이다.*분해능 :
지상
물체의 식별능력을 말하며 분해능 50m라 하면 지름이 50m 되는 물체가 사진에서 한점으로 보이게 된다는 뜻이다. 물론 밝은 물체는 약간 크게 보인다. 보통 m 단위의 분해능을 보인다면 CCD 소자를 이용하거나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