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d라이브러리
"
지상
"(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기압ㆍ온도조건 따라 다양한 모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지면에서 상공으로 갈수록 공기의 온도는 1백m마다 약 0.5℃의 비율로 낮아지므로
지상
의 기온이 0℃라고 할 때 약 5㎞의 고도에서 빙정이 생성된다(그림5). 빙정이 바람에 날리면서 2-3㎞ 부근에서 과냉각상태의 구름을 만나면 빙정은 구름 입자로부터 증발된 수증기를 자기 주위에 응결시켜 급속히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느린 표적으로 남아 있으며, 조종실과 일부 위험한 부분에의 장갑 보강에도 불구하고
지상
으로부터의 중기관총 화기에 비교적 취약하다. 따라서 좀더 사거리가 길고 위력적인 기관총을 탑재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 일례로 그라나다 전투에서 7.62㎜ 미니건(Minigun)기관총이 부적합한 것으로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어느 것보다 고귀하다고 믿었다. 달은
지상
에서 가까우므로 덜 신성해 얼룩이 있으며
지상
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완전성이 더해간다는 것이다. 아리스타르쿠스의 태양중심설알렉산드리아의 아리스타르쿠스(Aristarchus, 310-230 BC)는 지구는 날마다 지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태양의 주위를 원궤도를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내용은 지금으로서는 추측밖에 나와 있지 않다.쥐라기 초반에는 이미 공룡들이 완전하게
지상
의 지배권을 확립하고 있었다. 이 무렵 아마도 판게아에는 분열의 조짐이 일어나 인도와 남극의 경계부근에는 찢어진 틈이 넓어지고 인도 동해안에 해당하는 영역에 플룸헤드의 돌출에 동반한 지구(地溝 ... ...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가능성 있음).목성탐사선 갈릴레오는 충돌시간에 목성으로부터 약 2억㎞ 떨어져 있어
지상
에서 관측하는 정도의 사진밖에 얻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도 새로 설치되는 1.8m 보현산망원경 등을 이용해 수십초간 빛나는 목성의 영상을 담을 예정이다(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9 ... ...
폐기미사일 이용한 우주실험실 계획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미소중력 상태는 오랜 시간 비행하고 있을때도 줄어들지 않고, 우주정거장과는 달리
지상
으로의 회수가 즉시 된다는 점이 장점이다.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은 옛소련에서만 1천1백발 정도 폐기될 전망이다. 이 사업에는 미국도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토머스 물루어 퇴역해군대장을 대표로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 삼각다리삼각다리는 될 수 있는 대로 크고 튼튼한 것이 좋다. 약한 삼각다리인 경우
지상
의 사물이나 인물을 찍는 수평 사진인 경우에는 그런대로 버틸 수 있지만, 하늘을 향해서 찍는 수직 천체사진 촬영의 경우 가능하면 튼튼한 것이 좋다.■ 릴리즈릴리즈는 어두운 곳에서 카메라가 흔들리지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별들은 처음 태어날 때 가지는 질량을 중심부에서 태우면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러면
지상
의 생물은 어떠한가? 이들은 외부로부터 음식물이나 영양분을 섭취하면서 일생을 지낸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물이나 영양분을 어떻게 섭취하느냐에 따라 일생이 달라진다.별이 일생을 살아가는 모습은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고려치 않아도 될 것이다. 또 수명을 다한 위성은 태양과 태양계 외로 천천히 수송되므로
지상
에서의 원자력발전처럼 핵폐기물처리문제도 없다. 이것은 LEO에서 정지궤도로 수송하는 데 이용된 이온 엔진을 재이용하는 것으로 폐기직전의 원자로에서도 이온엔진을 작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결정적 열쇠가 될 수밖에 없는 은하핵의 연구는 앞으로 세계각지에 세워질 8m급 초대형
지상
망원경들의 중요한 임무가 될 것이다. 그리하여 퀘이사 같은 우주의 지평선 근처의 천체들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되면, 방정식 몇 개로 주어지는 무미건조한 우주론 결과들보다는 더 선명한 우주의 이미지를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