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신"(으)로 총 2,0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잘못한 타인을 용서하고 새로운 기회를 주듯 자기 자신 또한 용서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Tangney의 표현에 의하면 “용서할 수 없는 타인과는 안 보면 그만이지만 용서할 수 없는 나와는 안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Tangney, J. P., Boone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뇌의 평균보다 약간 가벼웠다) 여러 각도에서 사진을 찍은 뒤 240 조각으로 나눠 일부는 자신이 보관하고 나머지는 저명한 병리학자들에게 보냈다. 이런 사실은 1978년에야 세상에 알려졌다. 1984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신경해부학자 매리언 다이아몬드의 수중에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 네 점이 ...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2017.11.25
- 장기적으로는 겸손한 사람들이 가장 건강한 정신상태를 유지하지 않을까 싶다. 1) 자신을 과소평가하지도 반대로 과대평가하지도 않는 정확한 자기지각 2)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약점들을 부끄러워하지 않기 3) 흠결없는 완벽한 사람으로 보여지기 위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지 않기 4) ...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연구가 있다. 자신의 불행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거나 합리화하려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이 옳다는 타인의 승인을 갈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타인에게 나처럼 살라고 그게 옳은 것이라고 선전하고 싶을 때가 있다면 혹시 불행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 참고문헌 Bolger, N., Zuckerman ...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2017.11.04
- 비해 ‘덜’ 위험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현상 또한 나타났다. 같은 돈을 써도 남성이 자신이 좋아하는 물품을 사는데 쓰면 건전한 취미활동이지만 여성이 사면 ‘사치’라고 받아들여지는 것처럼, 비슷한 수준의 모험이나 우스꽝스러운 행동도 여성이 하면 덜 멋진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일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2017.10.31
- 적혈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당시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상용화를 자신했지만 9년이 지난 지금은 아직은 먼 얘기라고 한 발 물러섰다. 배양 비용을 낮추는 게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 Blood 제공 ● 배양 비용, 여전히 걸림돌 걱정스런 기사를 읽다가 문득 수년 전 과학동아 ...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그 결과 환각을 일으킨 것으로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자신의 신체적 신호의 오해로 인해 마치 유령을 만난 듯한 오싹한 체험을 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로 신경장애로 인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등 뒤에서 유령과 ...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사랑의 매’를 더 옹호한단 보고가 있었다. 사람은 자신이 한 고생을 ‘나쁘고 아무 의미 없었던 일’로 생각하기보다 어떻게든 좋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고생을 했는데 그게 아무 의미도 없었다고 한다면, 얼마나 힘빠지는 일인가. 그러다 보니 불합리한 일을 ...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2017.10.22
- 평가하기 어려운 내면이 남다른 사람들인 셈이다. 다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본인들이 자신의 리더로서의 역량을 과소평가한다고 하니 만약 단순히 활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좋은 리더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다시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Grant, A. M., Gino, F., & Hofmann, D.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예외는 아니라서, 환자가 됐을 때 이런 경험을 한 뒤 그동안 환자들을 무심하게 대했던 자신을 반성했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오늘날 병의 상당 부분이 만성질환이다. 그런데 만성질환 가운데 신경계와 면역계, 내분비계 쪽인 경우 환자의 심리(마음)가 병의 증세나 회복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