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달려 있고, 지휘자 앞에는 이런 지휘봉의 위치를 추적하는
카메라
가 있다. 덕분에 컴퓨터는 지휘봉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따를 수 있다. 물론 소리도 진짜 악기에서 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만들어 놓은 가상의 악기에서 난다.디지털 지휘봉과 비슷한 프로젝트로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공지능이 보낸 영상 중에서 오로지 ‘D만을’ 읽었다. 그것은 마치 수백만 화소의
카메라
로 찍은 흑백 사진과도 같은 그림이었다.그러나 인공지능은 아직도 해상도가 불충분하다고 느꼈다. 그러자 빛들이, 모두 합치면 4의 배수가 되는 수많은 D들이 다시 분열하기 시작했다. D들이 위성 식별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다목적 실용위성으로 개발된 아리랑위성은 전자광학
카메라
와 해양관측이 가능한
카메라
가 실려 있어 지도 제작, 해양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궁금증 둘!새로운 우주망원경을 만들고 있다?!허블우주망원경 차세대 적외선우주망원경 지상에 들어오는 별빛은 대기층을 통과하면서 고유한 성질을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식물의 색과 선명하게 대조된다.이곳에서 빙하를 연구하던 지질학자 아버는 연에 디지털
카메라
를 매단 뒤 땅에서부터 50~150m로 띄워 올려 촬영에 성공했다. 비행기보다는 낮고 고층빌딩보다는 높은 중간 높이라 이렇게 독특한 색깔, 질감,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고장 나서 난처해하던 중이었다.스쿠버를 고칠 수도 있지만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다른
카메라
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이들은 윤 교수에게 아즈텍을 사용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즈텍은 스쿠버보다 이미지를 처리하는 속도가 20배나 빨라 관측 기간을 줄일 수도 있다. 조그만 허블 딥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랫봇’(ratbot)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랫봇이 발전하면 여러모로 응용이 가능하다.
카메라
를 장착시켜 사람이 갈 수 없는 곳에 보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위험한 곳에 사용될 수도 있다. 랫봇에 폭탄을 장착해 원하는 곳에서 터뜨리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무릇 과학기술의 발전은 양날의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기기의 메모리로 많이 사용된다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 정도를 나타낸다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일 때는 저체중으로 영양결핍에 시달리거나 생리가 멈출 수 있다 반대로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새 프로젝트는 칠레 안데스산맥에 있는 또 하나의 제미니천문대에 설치된 차세대 적외선
카메라
(NICI)로 500여개의 별을 2, 3년에 걸쳐 총 50일간 관측해 외계행성을 찍으려는 계획이다. 이는 지금까지 진행된 어떤 외계행성 탐색계획보다 더 큰 규모이다. 현재 8개국 총 23명이 참여하기로 결정됐다 ... ...
레이저총 쏘며 고지를 점령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화면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5개의 중계탑이 군인들과 훈련본부를 연결하고 4대의 감시
카메라
가 전장을 관찰한다. 훈련부대에는 관찰통제관이 따라붙는다. 총은 진짜 총알 대신 레이저를 발사한다. 훈련대원이 적이 쏜 레이저 총알에 맞으면 사망·중상·경상의 신호가 나온다. 신호는 팔뚝에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만원을 호가하는 캠코더를 닮은 이 장비는 주변의 민감한 열변화를 정교하게 짚어낸다.“
카메라
에 담긴 화면을 보면 차갑게 보이는 부분이 확실히 늘어났어요.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의 영향이 큰 것 같아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이 장비를 이용해 청계천 복원 전후의 온도차를 측정해왔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