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급이 됐다. 2000년 30만화소에서 130만(2003년), 300만(2004년) 그리고 700만화소(2005년)
카메라
폰이 등장했다. 이미지센서 역시 평균 1년에 2배씩 화소수가 늘어난 셈. 이미지센서 개발 기업인 엠텍비젼의 이주석 연구소장은 “이미지센서에 광다이오드를 많이 집적할수록 화소수가 많아진다”며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마세요.”나도선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사장(56)은 인터뷰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
를 들이대자 보이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 찍어줄 것을 부탁했다. 좋게 보이기 위해 일부러 편집하지 말라는 주문이다. ‘뽀샵’이란 ‘포토샵’(Photoshop) 같은 그래픽편집 소프트웨어로 실제 인물 보다 사진이 나아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방위산업체인 삼성탈레스가 개발한 야간투시
카메라
가 처음으로 진가를 발휘했다.
카메라
를 켜니 컴컴한 어둠 속에 서있는 막사가 모니터 화면에 훤히 보이기 시작했다. 물체에서 나온 약한 빛을 증폭시켜 보여주는 이 장치는 최대 1~2km 떨어져있는 물체까지도 식별해낸다. 롭해즈가 야간정찰임무를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전시돼 있다.이번 연예인 홀로그램은 스테레오그램 방식으로 제작됐다. 일반
카메라
로 다양한 각도에서 180~300장의 사진을 찍은 다음 이를 홀로그램용 필름에 합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스테레오그램은 단 한번 촬영하는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스테레오그램은 사진을 찍을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서로 정보를 교환해 단순한 ‘보는 것’이 아닌 ‘지각’을 창조한다.이렇듯 시각이란
카메라
처럼 ‘본다’라는 단순한 작용이 아니라 뇌의 복잡한 분석과정을 통한 고도의 ‘인식작용’인 것이다. 끝으로 1966년에 발표된 리차드 그레고리 박사의 ‘눈과 뇌’라는 책의 한 구절을 인용한다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소니에릭슨 등은 음악을 무선으로 내려받아 듣는 서비스를 전시회장에서 시연했다.
카메라
폰 보급이 늘면서 휴대전화로 촬영한 이미지를 블루투스나 USB포트를 통해 프린터에 바로 연결해 사진을 출력하는 시연회도 여기저기 눈에 띄었다.한편 정보기술의 미래를 엿보이게 하는 첨단기술도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사방으로 빛이 뻗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천체가 별이다.NASA의 과학자들은 고성능
카메라
(ACS)가 장착된 허블우주망원경을 화학로자리 방향의 ‘허공’을 향했다. 총 11.3일간 노출을 주면서 아무 것도 없을 것 같았던 우주공간의 사진을 찍자 수많은 은하들의 모습이 드러났다. ‘허블 울트라 딥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처음 이 제안을 접한 레인컴 관계자는 ‘어이없어’ 했다. 레인컴 신화의 원동력인 N10과
카메라
가 탑재된 MP3플레이어 IFP-1000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이노디자인이 제시한 디자인 컨셉에 따라 제작된 이 제품이 좋은 반응을 보이자 레인컴은 출시 예정된 모든 상품 계획을 완전히 변경했다.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물체에 압력을 가하면 표면에 발라놓은 페인트에서 형광물질이 나오는데 이를 특수
카메라
로 촬영하면 물체 표면에 흐르는 유체의 움직임을 한눈에 알 수 있다.성 교수의 연구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소음 문제는 유동제어 분야에서 주요 연구대상이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사소한 소음 역시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상한선을 결정할 것이기 때문이다.허블우주망원경에는 2002년 3월에 ‘탐사용 고해상
카메라
’(ACS)가 새롭게 설치돼 해상도가 크게 향상되고 시야가 많이 넓어져서 더욱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됐다. 바로 이 관측 장비를 사용해서 ‘I 쯔비키 18’을 무려 19시간 동안 노출하면서 관측을 수행해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