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타고 하늘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카메라
에 담는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사진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그의 사진집을 보면 우리가 사는 지구가 이렇게나 아름다운 곳이었는지 새삼스레 감동하게 된다. 프랑스 보 지역에 있는 하트 모양의 숲, 케냐의 투명한 마가디 호수, 카펫을 펼쳐놓은 듯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걷는다. 연구팀은 로봇에게 걸음마를 가르치기 위해 사람이 걷는 모든 동작을 저속
카메라
로 찍어 동작 하나하나를 뽑아내 걷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를 로봇에 입력하고 시험해본 다음 오류를 고치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했다. 그런 노력 끝에 3년만에 드디어 KHR-2가 탄생한 것. KHR-2는 양쪽으로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고정촬영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다.천체망원경으로도 찍을 수 있다. 망원경의 접안부에
카메라
를 직초점방식으로 연결한 후 5분간 노출하는 것이다. 노출 시간을 길게 주는 이유는 사진에 입체감을 주려고 뒷배경으로 잔별을 찍기 위해서다.천체망원경의 직초점촬영에서 유의할 점은 두 행성이 ... ...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우주선이 충돌할 때 분화구에서 분출되는 물질과 혜성의 내부 구조 등을 고성능 광학
카메라
와 분광계를 통해 분석할 계획이다. 미 메릴랜드대 천문학자 마이클 에이헌은 “충돌은 지구에서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의 특정 위치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할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편 영상처리 분야에서도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가 널리 보급되면서 촬영한 이미지를 다듬는 소프트웨어가 이미 많이 개발돼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여전히 전문가의 미적 수준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크다. 이 교수는 이미지를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기 창고에 가득 쌓아 둔 15세 소년의 이야기를 3년 전 신문에서 읽은 적이 있다.
카메라
기자 앞에서 하얀 이를 드러내며 웃는 소년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치료를 위해서는 약물투여가 불가피하지만, 부작용이나 불편이 만만치 않은 것은 현재 쓰이는 약물전달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의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야에 걸쳐 간단한 실험을 수행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내야 할 것”이라며 “우주
카메라
를 이용해 태양이나 지구의 영상을 담아오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현재 세계적으로 많이 연구되는 주제는 2가지다. 우주에서 우주인이 장기체류할 수 있는가와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가 하는 것. 당장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비밀을 연구해오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문득 새로운 의문을 갖게 됐다. 저해상도의
카메라
폰보다도 훨씬 떨어지는 25×25화소의 눈을 지닌 초파리가 어떻게 이런 정교한 비행을 할 수 있을까.그 해답은 초파리의 놀라운 후각능력에 있었다. 1㎞밖에서도 냄새를 따라 근원지를 정확히 찾아가는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배터리는 없다. 들어간 제작비는 대당 겨우 10달러 안팎. 앞으로 이 로봇은 화학센서나
카메라
등을 싣고 다니면서 오염물질 검출이나 정찰 업무 등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근처는 3km 간격으로 좁게, 그 주위는 9km, 가장 바깥쪽은 27km로 점점 넓게 나눈 것.
카메라
로 ‘줌 인’한 상태처럼 말이다. 그래서 영동지방이라는 좁은 지역에서 일어난 폭우의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었다.국지적 규모의 강수지역과 강수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