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과학동아 l2004년 10호
- 붉은 모습이 쉽게 확인될 정도다. 밝기가 비교적 고르고 크기 때문이다. 아마추어의 소형카메라를 사용한 짧은 노출 사진에서도, 망원경을 사용한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도 캘리포니아성운은 잘 나타난다. 그래서 사진관측가들에게 가을철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관측 대상으로 꼽힌다.신화 속 ...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과학동아 l2004년 10호
- 서있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사람은 머리를 흔들어도 초점이 흔들리지 않지만 카메라는 조금만 흔들려도 상이 흐릿해진다. 인간에게는 고통이 로봇에게는 편안함이고 거꾸로도 마찬가지다.“별 짓 다 해봤습니다. 사람 손을 묶어놓고 걷게 해 발 움직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도 했습니다. 3년 ... ...
- 연료전지과학동아 l2004년 10호
-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베르하르스트에 의해 1838년에 제안되었다 그는 인구증가 ...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과학동아 l2004년 10호
- 큰 전봇대만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나 보다.도대체 전봇대가 뭐길래 드라마 제작진의 카메라도 피하지 못할 만큼 널리 퍼져있는 걸까? 사람이 사는 곳이면 어디든 전기가 따라가고, 전기는 전봇대를 징검다리 삼아 전송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미관과 안전을 생각해서 땅밑으로 전선을 설치하는 ... ...
- 수도꼭지 와류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4년 10호
- 4cm 굵기의 긴 관에 물을 통과시켰다. 관끝에 달린 물분출기가 물을 휘젓는 동안 레이저와 카메라로 물거품의 움직임을 추적했다.물흐름이 빨라지자 물분출기가 만든 심한 요동에서 작은 물결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물의 흐름이 더 빨라지고 가운데에서는 더 느려지면서 관을 ... ...
-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과학동아 l2004년 10호
- 비율이 더 크고 수정체가 훨씬 앞으로 튀어나와 있어 빛을 더 많이 모을 수 있다. 또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을 하는 홍채는 더 많이 줄었다 늘어날 수 있다. 깜깜한 밤에는 동공(눈동자)도 훨씬 크게 열려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다.흥미롭게도 고양이의 눈동자는 수직방향으로 길쭉하게 생겼다. 동그란 ...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방전전류를 크게 하더라도 방전전압의 저하는 적다 밀폐형 전지는 주로 전기면도기, VTR 카메라 등 가정기구에, 또한 전등이나 컴퓨터 메모리의 정전시의 백업용 등으로 쓰이고 있다 일산화탄소를 40~100℃에서 니켈 가루에 작용시켜 얻는 무색 휘발성 액체 벤젠 · 에테르 · 클로로포름에 녹고 묽은 ... ...
- 균열 스스로 진단하는 똑똑한 콘크리트 만든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즉 콘크리트에 센서를 내장하거나 디지털카메라로 내부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균열이 발생하면 즉시 감지하도록 만든다는 얘기다. 균열의 폭, 길이, 방향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개발했다.뿐만 아니라 균열 발생을 미리 ... ...
- 실시간 수족관 e-Quarium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몬터레이만 바다 속, 몬터레이만 등으로 나눠진 각 캠 서비스를 위해 각 수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어디에서라도 해양 동물을 볼 수 있다. 미국 시간으로 오전 7시에서 오후 7시(한국 시간 0시-12시)에는 실시간 동영상을, 이외의 시간에는 녹화된 동영상을 볼 수 있다.수족관 ...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과학동아 l2004년 08호
- 후 길을 잃는 일 없이 무사히 귀환할 수 있다. 해저의 시계가 불량한 경우에도 AUV가 카메라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수중복합항법시스템을 보조적으로 사용해 무사히 도킹이 이뤄진다.2006년 말 6천m급 한국산 무인잠수정 개발이 완료되면 동해 해저 2천-3천m와 태평양 6천m 심해를 정밀하게 탐사할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