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창"(으)로 총 2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과학동아 l199803
- 공기에 의한) 및 접촉성 질병' 이라는 논문에서 '코흐의 공리'의 선구가 되는 이론 을 제창했는데, 헨레와 코흐의 만남은 그들뿐만 아니라 의학의 발전에도 큰 축복이었다.의과대학 졸업 후 코흐는 베를린으로 가 세포병리학의 창시자로 '의학의 교황' 이라는 칭송 을 받게 된 비르효(1821∼1902)에게서 ...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과학동아 l199707
- 별개로 1960년 후반 강력이론을 기술하기 위한 끈이론이 시카고대학의 남부 교수에 의해 제창됐다. 그러나 끈이론은 초대칭성이 도입되면서(사실 초대칭성은 끈이론에서 제일 먼저 도입되었다) 10차원 초끈이론으로 발전했다. 또한 끈이론이 중력을 설명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끈이론은 강력이론이 ... ...
- 재활용 개인 우주선과학동아 l199701
- 말로서, 미국의 수학자이자 전기공학자인 노버트 위너(Nobert Wiener, 1894-1964)에 의해 널리 제창되었다 동물과 사회가 항상성을 유지하고 제어, 통신하는 것에 착안해 그러한 원리를 기계, 인공두뇌, 자동화 생산방식 등에 응용하려는 분야다 가령, 동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호르몬 되먹임(feedback)을 ...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과학동아 l199610
- AG를 만드는 반응 엽록체(葉綠體) 내 글리콜산의 대사경로(代謝經路) 1963년 N E 톨버트가 제창했다 글리콜산 경로에서 글리콜산은 글리콜산옥시다아제의 작용으로 글리옥실산이 된다이 산화반응에서 글리콜산 1분자 당 1/2분자의 산소가 들어가 있다 글리콜산을 분자 상태의 산소에 의해 산화 시켜 ...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과학동아 l199607
- 말로서, 미국의 수학자이자 전기공학자인 노버트 위너(Nobert Wiener, 1894-1976)에 의해 널리 제창되었다. 동물과 사회가 항상성을 유지하고 제어, 통신하는 것에 착안해 그러한 원리를 기계, 인공두뇌, 자동화 생산방식 등에 응용하려는 분야다.가령, 동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호르몬 되먹임(feedback)을 ...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과학동아 l199603
- "한편 이 행사의 핵심을 차지하는 아시아인들의 연대를 위해서 그는 한가지 아이디어를 제창, 이미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갔다. 오는 5월의 부처님 오신 날을 인터넷 상에서 동시에 중계한다는 계획이 바로 그것이다. TV와 같은 전파미디어에서도 미처 기획하지 못했던 이 일은 인터넷이 새로운 ... ...
- 1. 생물학적결정론과학동아 l199602
- 슈테른이 '지능검사의 심리학적 방법'(1911)이란 책에서 '정신연령과 실제 연령의 비' 를 제창했다. 그것을 미국 스탠포드대 심리학자인 터먼이 계승해 저서 '지능지수', 즉 IQ(intelligence quotient)를 등장시켰다. 이 IQ는 양적인 측면이 강조됐고 평생 변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그러나 현재 통용되고 있는 ... ...
- 진화론 VS 창조론과학동아 l199512
- 창조론, 혹은 창조론을 반대하기 위한 진화론보다는 두가지를 조화시켜 더 좋은 학설을 제창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만 생명탄생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 ...
- 3. 열역학법칙을 어떻게 볼 것인가과학동아 l199510
- 진화의 개념은 이미 고대 그리스의 아낙시만드로스나 아리스토텔레스 등에 의해서도 제창됐고 중세가 지난 18세기에 다시 나타났다. 이후 19세기 후반 다윈이 진화론을 발표하면서 진화론은 과학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진화론은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1백50만종이 넘는 생물들이 태고적부터 ... ...
- 동물의 행동 지배 유전자 연구 가능성 열려과학동아 l199507
- 이 문제는 이미 1백년 이상이나 전부터(멘델의 법칙이 재발견되기 전부터) 우생학을 제창한 갈튼들에 의해 논의돼 왔다.사람의 경우 문화나 환경의 영향을 배제하기 어려우므로 행동과 유전자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나 초파리의 행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꽤 진척돼 있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