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창"(으)로 총 22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과학동아 l199402
- DNA의 주입으로 일어남을 증명1953년 미국의 왓슨과 영국의 크릭, DNA의 이중나선구조 모델 제창1963년 미국의 달베츠코, 바이러스에 의한 시험관내발암에 성공1964년 영국의 엡스타인 발, 사람의 버키트임파종에서 EB바이러스 발견. 사람의 암바이러스연구 시작1964년 미국의 브랜버그, B형 ...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과학동아 l199402
- 등장했다. 이 관리제어 개념은 1960년대의 후반 MIT의 토마스 세리던(T.B.Sheridan)교수에 의해 제창돼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이용됐다. 이것은 애초 우주에서 텔레오퍼레이션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인데, 현재는 우주에 한하지 않고 그 적용 범위를 해양 등으로 넓힌 것이다. 현재의 이 분야 ...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과학동아 l199402
- 더욱이 대립 유전자는 각각 상동 염색체 위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는 유전자설을 제창했다.한편 미국의 멀러(H.J. Muller)와 페인터(T.S. Painter)는 초파리에 X선을 쬐어 염색체에 전좌(轉座 : 염색체 돌연변이)를 일으킨 다음, 그 전좌부의 길이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면서 전좌부에 있는 유전자의 위치를 ... ...
- 유전공학 6대 논란과학동아 l199311
- 는 논쟁 속에서 영국 옥스포드대 동물행동연구팀의 선두주자인 리처드 도킨스가 제창한 개념이다. 도킨스는 1976년 낸 저서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에서 "유전자에 의해 생물의 행동이 조작된다"고 기술했다.그의 주장은 자연선택의 결과 마지막에 남는 것은 유전자 정보이고, 이같은 유전자 ...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과학동아 l199310
- 독일의 슈테른이 '지능검사의 심리학적 방법'(1911)에서 '정신연령과 실제연령의 비'를 제창했고, 그것을 미국 스탠포드대 심리학자인 터먼이 받아 저서 '지능의 측정'(1916)에서 '지능지수', 즉 IQ를 등장시켰다. 이 IQ는 양적인 측면이 강조되었고 평생 변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흑인이나 이민들에게 ...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과학동아 l199309
- 변환식(Lorentz transformation)이다. 학계에 유명한 이 변환식은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제창하기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물론 그에 대한 정확한 물리적인 해석을 처음 내린 사람은 아인슈타인이었다.이 변환식에서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시간과 공간이 시공간이라는 한개의 ... ...
- 한국과학원 설립 연구 보고를 마치고과학동아 l199306
- 유명한 분이다. 도날드 베네딕트 박사는 오레곤 대학원장으로서 새로운 대학원 교육을 제창한 공학교육가이다.USAID 전문가팀의 간사 역할을 맡았단 필자는 베네딕트 박사와 함께 선발대로서 자료수집과 보고서 작성을 맡았다. 당시 30세의 뉴욕 공대 교수였던 필자가 세계적인 학자들과 함께 한국 ...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과학동아 l199306
- 궤도를 세계 각국의 천문대에서 계속 관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측의 주목적은 당시 제창된 혁신적인 중력이론인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을 증명하려는 데 있었다. 새로 발견되어 태양계의 새식구로 등장한 천왕성이 과연 뉴턴의 만유인력이 예측해준 궤도를 따라 운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증의 ...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과학동아 l199301
- 아프리카의 해안선이 조개 부전이 맞듯 합치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대륙이동설을 제창했듯이 고대인들이 보물처럼 숭상했던 황금분할에서 어쩌면 과학자들이 그동안 미처 알아차리지 못했던 자연의 형태학적 비밀을 찾아낼 수도 있기 ○○○··· 황금분할의 작도와 피보나키 수열황금분할의 ... ...
- 빅뱅이론 총정리과학동아 l199212
- 실감 중"이라고 토로했다. 이처럼 길지 않은 현대 우주론의 역사속에서도 우리는 어렵게 제창된 이론들이 너무나 쉽게 부정되어 버린 예를 허다히 볼 수 있다.이 글에서는 현대 우주론의 정수로 알려진 대폭발이론(The Standard Big Theory)을 소개하면서 그 역사적 배경을 훑어보고, 현재 연구상황, 그리고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