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비가 너울너울 ,2012 예천 곤충바이오엑스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벌 중에서도 가장 독한 침을 자랑한대. 이 말벌집 안에는 여왕벌의 방 1개와 일벌과
애벌레
가 사용하는 방 6만 7000개가 들어 있어. 2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비관찰원너풀너풀 날던 흰나비가 지쳤는지 가느다란 풀잎에 앉았어. 곧 꽃가루를 묻히러 꽃잎으로 날아갔지. 무수히 많은 화려한 나비들이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따라서 물이 더러워지면 먹이가 없어서 살 수 없어요. 또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빨라도
애벌레
들이 쉽게 떠내려가서 살 수 없지요. 정광산 계곡에 사는 반딧불이는 그 수가 적고 계곡 물살이 빨라 서식 조건이 좋지 않았어요. 그래서 수목원을 지을 때 계곡 곳곳에 돌을 쌓아 빠른 물 속도를 줄이고,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피는 봄이 오면백목련을 만난 호랑나비가 기쁨의 춤을 추고 있다. 겨울 내 땅속에서
애벌레
로 지내던 호랑나비에게 백목련이 피는 시기는 인생의 절정일 것이다. 물방울이 도넛처럼 동그랗게 보이는 건 ‘반사렌즈’라는 특수렌즈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작가는 사진을 찍으러 다니며 이미 순수한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곤충이라는 사실로 오해하진 마!장수하늘소는 우리나라 하늘소 중에서 가장 큰 종이야.
애벌레
가 나무줄기에 큰 구멍을 뚫고 들어가 살아 피해를 입히기도 하지. 서울 북한산과 경기 광릉에서 살았는데 지금은 거의 볼 수가 없어. 금속 광택이 강한 비단벌레는 최근 전남 해남과 완도에서 몇 마리가 ... ...
장수하늘소 인공증식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인공증식이란 장수하늘소 암수 한 쌍을 짝지어 알을 낳게 한 다음, 거기서 태어난
애벌레
가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기까지 키우는 과정을 말해요. 천연기념물 제218호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는 일에 성공한 사람은 강원 영월곤충박물관의 이대암 관장이에요. 이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뒤 잡아 먹는다. 그라우시페 끝주홍나비의 몸에는 이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고 날개와
애벌레
피부에서만 독성물질이 나왔다. 나비는 이 물질을 공격용 대신 방어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 나비를 날개째 먹는 도마뱀붙이 같은 생물도 있는데, 연구진은 도마뱀붙이가 진화 과정에서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뿔뿔이 흩어지고 빈 집만 남는다. 그렇다면 말벌은 어떻게 생존을 이어갈까. 최 박사는 “
애벌레
가운데 여왕벌로 태어난 개체와 수벌로 태어난 개체가 가을에 교미를 하고 이들 신참 여왕벌이 땅속이나 나무 틈에서 겨울을 난다”며 “이듬해 봄 여왕벌 홀로 작은 집을 짓고 알 몇 개를 낳는다”고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매미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일생이 알,
애벌레
, 성충 세 단계로 나뉜다.
애벌레
가 탈피각을 벗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매미가 된다.“머리, 앞가슴등판이 전체적으로 큰 걸 보니 말매미네요.” 탈피각을 이리저리 살펴보던 장이권 교수가 말했다. 이 곳에 말매미가 살고 있다는 증거다 ... ...
위협을 느끼면 폭풍성장하는 박각시나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더뎌졌다. 이에 대해 연구팀의 란 카플란 곤충학과 교수는 “이 결과로 박각시나방
애벌레
에서 관찰된 흥미로운 현상이 먹이 부족이 아니라 포식자 때문임을 확실하게 해줬다”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7월 호에 실렸다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영장류는 과일과 이파리만으로도 충분했습니다. 몸집이 비교적 작은 원숭이는 곤충이나
애벌레
정도 되는 동물성 단백질을 먹기도 합니다.하지만 오랑우탄이나 고릴라처럼 몸집이 큰 유인원은 거의 채식만 합니다. 거대한 몸집을 유지할 만큼 고기를 많이 구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