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구리를 빨아먹는 킬러
애벌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꼬마
애벌레
구나. 앞으로 커서 훌륭한 딱정벌레가 되길 바랄게!먹잇감으로 생각됐던
애벌레
가 오히려 포식자를 유혹해서 잡아먹는다는 건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을 거예요. 흠흠! 이만 하면 상식을 깬 선구자라고 할 수 있지요? 앞으로도 우리는 개구리와 두꺼비를 빨아먹고 성장할 거예요. ... ...
뚝딱뚝딱, 동물도 도구를 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먹이를 먹을 수 있는지 알아본 거야. 원래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들은 나무 속에 숨어 있는
애벌레
를 꺼내 먹기 위해 막대기를 사용하거든. 그런데 다음날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 똑같은 상황에서 펴진 철사를 주자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는 철사를 구부려 갈고리 모양으로 만들었어. 그리고는 양동이의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거쳐 다시 알을 낳는 나비의 생애주기를 실험하기 위해서다. 국제우주정거장에 도착한
애벌레
는 11월 24일 번데기가 됐고, 30일이 되자 허물을 벗고 나비가 됐다. 당시 지구에서는 초·중등학생 12만 명과 교사 2800명이 똑같은 나비를 키우며 비교했다. 비교 결과, 드러난 차이점은 단 한 가지. 지구에서 ... ...
파리도 예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생물체를 분해하는 역할도 하고 있어. 실제로 음식물쓰레기를 빨리 없애는 데 파리의
애벌레
를 사용하기도 한단다. 게다가 이렇게 예쁜 파리들도 많잖아? 그러니 이젠 우리 파리를 그냥 못생기고 더러운 해충으로만 생각하지는 말아 줘~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도 해 봤다. 그냥 불쾌한 존재였던
애벌레
의 가치를 인정해 주고,
애벌레
의 놀라운 생명력이 선사하는 특별한 감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지난 1년간의 글이 종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됐기를 기대한다. 재미가 있었는지, 유익했는지 궁금하지만 1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세계에서 가장 큰 전갈이에요. 하지만 커다란 몸집에 어울리지 않게 작은 흰개미와
애벌레
를 먹으며 살고, 독은 사람에게 해가 되지 않는답니다. 오히려 독성분은 심장병 치료용 약으로 연구 중이지요. 또한 자외선을 쪼이면 볼 수 있는 파란색 형광 물질도 백내장 치료용으로 연구 중이에요.요상한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괴롭히면 털이 가시처럼 살에 박혀 따끔따끔하다. 해가 없을 것 같은 이런 종류의
애벌레
조차도 극단적으로는 방어 무기로 반응할 수 있으므로 어쨌든 털은 조심할 일이다 ... ...
촉촉한 똥은
애벌레
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안전한 피신처이므로 항상
애벌레
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네발나비와 큰멋쟁이나비
애벌레
의 집은 엉성하지만 몸의 크기에 맞춰 집도 개조하고 넉넉하게 이용한다. 먹고 자다가 배설물로 가득찬 집이 더 이상 집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다른 잎으로 옮겨서 새로운 집을 만든다. 아예 잎을 말아 ... ...
애벌레
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어떻게
애벌레
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연구팀은 매미나방
애벌레
를 배큘로바이러스에 걸린 그룹, egt 유전자를 비활성화시킨 바이러스에 걸린 그룹, 걸리지 않은 그룹으로 나눠 일생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에 걸린 그룹은 기다란 플라스틱 통(나무 역할) 위에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
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5월 21일 횡성군 갑천면의 연구소 주변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했다.
애벌레
를 채집한 것은 바람에 몸을 맡겨 이동하는 어른벌레를 확인한 것과는 의미가 다르다. 번식을 위한 진출로 추정할수 있으며 이미 4∼5월 중에 암끝검은표범나비 암컷이 북상 후 알을 낳았다는 증거이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