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흥분 호르몬’으로 용감한 꿀벌 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꽃가루를 따오는 것 외에도 할 일이 많아요. 집을 깨끗이 청소하거나 알을 관리하고,
애벌레
를 키우는 일이 모두 우리 몫이랍니다. 암벌 중에서 한 집에 한 마리뿐인 여왕벌은 유일하게 알을 낳을 수 있어요. 여왕벌이 짝짓기를 하려고 날아오르면 수벌 수백 마리가 쫓아가요. 그런데 여왕벌을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않아 죽어 버렸기 때문이다. 연구소는 곤충이 칩을 신체 일부로 인식하도록 만들기 위해
애벌레
가 번데기로 변할 때 칩을 이식했다. 번데기가 커지면서 이식 부위의 상처가 아물고 동시에 칩이 신체의 일부인 것처럼 느끼도록 시도했다.DARPA는 곤충 실험에 앞서 상어를 조종하는 연구를 검토하기도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마리가 힘을 합쳐 들기도 했다. 운반하고 있는 건 다름아닌 키우던
애벌레
였다.“병든
애벌레
를 버리려는 거예요.”생각해 보면 놀라운 행동이었다. 벌집 전체에 병이 퍼지는 일을 막기 위해, 다시 말해 집단의 생존을 위해 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엉덩이춤’ 부터 집짓기까지 감동적이기까지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큰 풍뎅이는 골리앗풍뎅이와 타이탄풍뎅이입니다. 골리앗풍뎅이는 10cm 이상 자라며,
애벌레
때는 무게가 100g을 넘기도 합니다. 타이탄풍뎅이는 16cm까지도 자랍니다. 길이만 따지면 헤라클레스풍뎅이라고 하는 친구가 17cm 넘게 자라기도 하므로 세계에서 가장 큰 풍뎅이입니다. 하지만 ... ...
초파리의 구충제는 ‘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2%까지 올라간다. 숙취를 겪는 것이다. 쉬렌키쉬 박사팀은 초파리
애벌레
가 마치 ‘숙취로 고생할 것인가, 기생충 때문에 죽을 것인가’를 놓고 고민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월 16일자에 실렸다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성장 호르몬과 비슷한 물질인 ‘에소프렌’을 바른 거예요. 그러자 이
애벌레
는 일반
애벌레
보다 크기도 컸고, 가슴에는 날개 흔적이 두 개나 생겼답니다. 일 개미나 병정 개미는 날개 흔적이 없거나 하나만 있어요.그렇다면 나도 거인이 될 수 있을까?글쎄요. 우리처럼 하면 닥터 그랜마도 골리앗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➋
애벌레
의 탈출(Against The Odds)비눗물 위에 빨간 식용색소를 한 방울 떨어뜨렸다. 빨간
애벌레
가 비눗방울을 뚫고 나오려고 몸부림을 치고 있다.➌ 호수에 펼친 빨간 우산(Carnival)호수 한가운데에 빨간 우산을 활짝 폈다. 린스 에이드(식기세척기에 넣는 헹굼질 보조제)를 탄 물 위에 빨간 물감을 ... ...
사랑을 찾는 동식물의 예술작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꽃이 피지 않은 채로 열매를 맺는다는 이름의 무화과는 정말 꽃을 피우지 않는 걸까.
애벌레
처럼 구부러진 모양의 고소한 캐슈넛도 땅콩처럼 땅속에서 자랄까. 빵나무의 열매에서는 정말 고소한 빵맛이 날까. 한국에서 먹기 힘든, 또는 열매는 흔할지라도 나무의 모습을 상상하기가 어려운 (아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반응시간을 늘리면 도토리의 모양은 점점 길어진다. 반응온도와 시간을 조절하면 병,
애벌레
등 다양한 모양의 나노 캡슐도 만들 수 있다. 캡슐 안은 비어 있어 약물을 넣어 운반할 수 있다.나노 센서독일 KIT센터와 프랑스 IPCMS 연구팀은 파란 볼펜의 염료인 수소-프탈로시아닌을 이용해 세상에서 ... ...
모기도 장거리 여행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일 년 내내 따뜻한 물이 흐르는 곳이 있어요. 온도가 높다 보니 겨울에도 이 곳에서 모기
애벌레
가 자라서 번식한답니다. 하지만 바깥은 기온이 낮아 모기가 이동할 곳이 적어요. 그러다 보니 겨울 모기들은 여름보다 더 굶주려요. 굶주린 모기는 피를 빨 대상을 찾아평소보다 훨씬 더 멀리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