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질
변태
변형
변화
쉰 목소리
뉴스
"
변성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황반
변성
치료 새 전기… 새 혈관 만드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9
활성화해 세포골격을 조절한다는 사실 역시 처음으로 알아냈다. 고규영 단장은 “황반
변성
이나 암 등 병적 혈관 신생이 원인이 되는 질병에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임상연구학회지'(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지난 15일 자에 실렸다 ... ...
폭우가 빚은 참사 ‘쓰촨성 산사태’...본격 장마철 맞는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6
들어가기 쉽다”고 말했다.
변성
암의 일종인 편마암(왼쪽)과 화성암의 일종인 화강암.
변성
암과 화성암이 한국 지반을 이루는 암석의 90%를 차지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 혼합림 구성해 지반 다져야 자연재해인 산사태를 원천적으로 막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05.21
최적의 방법이다. 깨끗한 얼음 결정이 우주먼지를 둘러싸고 있어서 오염이 없고, 화학적
변성
이 적은 우주먼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극지연구소는 2013년부터 남극에 최근 2년 사이 내린 깨끗한 눈을 채집해 우주먼지를 연구하고 있다. ● 왜 우주먼지인가 극지연구소는 2013년 1월 4일과 2014년 ... ...
[카드뉴스] 뭐라 설명할 수 있는 오글거림
동아사이언스
l
2017.04.20
때 사람들은 손발이 오그라든다는 표현을 씁니다. 구운 오징어처럼 열에 의해 단백질이
변성
되는 것도 아닌데, 왜 실제로 우리의 몸이 움츠러들고 팔이 꼬이는 행동이 나올까요? 감정이란 뇌의 특정 영역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거나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감정은 뇌 안에서 ... ...
[카드뉴스] 세계의 면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화북지역 산시성의 지하수는 pH7이 넘는 알칼리성입니다. 알칼리는 글루텐에 특이한
변성
을 일으키면서 반죽의 점성과 신축성을 높이고 밀가루의 플라보노이드 색소를 황색으로 변하게 합니다. 일본의 우동 우동은 치대기와 저온 숙성 과정을 반복하여 글루텐 구조가 매우 치밀하게 형성됩니다. ... ...
노인 실명 막는 유전자 치료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2
계획이다. 김 단장은 “이번에 교정한 유전자는 생쥐뿐 아니라 인체에서도 동일하게 황반
변성
을 일으키는 유전자로 확인됐기 때문에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정훈 교수는 “인체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한 후 신약 시판 승인 단계를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 ...
우리는 평소 어떤 ‘독’에 노출돼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15
파라콰트, 유기염소계의 농약류 등 간이나 신장 등의 장기 조직에 쌓여 (침착)
변성
을 일으키는 화합물입니다. 납이나 수은 등의 중금속은 칼슘과 잘 결합하기 때문에 칼슘이 많은 뼈와 지방 조직에 잘 쌓입니다. 특히 골수세포에 많이 쌓여 세포를 죽게 해, 백혈병의 원인이 됩니다. 또 혈액으로 ... ...
“줄기세포 이식으로 피해입은 환자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7
오염이 될 수 있다. 배양에 사용하는 시약이나 성장인자가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성
시킬 위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 세포 형태, 세포 증식능 및 분화능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변화가 가능하다. 모든 의학적 요법은 일정 수준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건 위험을 감수할 수 있을 ... ...
세계 두 번째 ‘유전자 교정’ 학회 출범… “미래사회 논의할 교두보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6.12.15
진화에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 연구팀과 함께 유전병인 황반
변성
(안구질환) 치료 연구에 크리스퍼를 활용하고 있는 김정훈 서울대 의대 교수는 “의료 기술은 그 효과만큼 안전성도 매우 중요하다”며 “유전자 가위는 기존 치료법과 비교해 안전성 면에서 뒤지지 않기 ... ...
치매 원인물질 두 종류 한 번에 치료한다
2016.11.21
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 두 종류의
변성
을 한 번에 억제할 수 있는 신약후보 물질 ‘네크로스타틴-원(Necrostatin-1)’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뇌 속에 존재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이 과도하게 응집하면 뇌세포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