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질
변태
변형
변화
쉰 목소리
뉴스
"
변성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세계의 면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화북지역 산시성의 지하수는 pH7이 넘는 알칼리성입니다. 알칼리는 글루텐에 특이한
변성
을 일으키면서 반죽의 점성과 신축성을 높이고 밀가루의 플라보노이드 색소를 황색으로 변하게 합니다. 일본의 우동 우동은 치대기와 저온 숙성 과정을 반복하여 글루텐 구조가 매우 치밀하게 형성됩니다. ... ...
노인 실명 막는 유전자 치료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2
계획이다. 김 단장은 “이번에 교정한 유전자는 생쥐뿐 아니라 인체에서도 동일하게 황반
변성
을 일으키는 유전자로 확인됐기 때문에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정훈 교수는 “인체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한 후 신약 시판 승인 단계를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 ...
우리는 평소 어떤 ‘독’에 노출돼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15
파라콰트, 유기염소계의 농약류 등 간이나 신장 등의 장기 조직에 쌓여 (침착)
변성
을 일으키는 화합물입니다. 납이나 수은 등의 중금속은 칼슘과 잘 결합하기 때문에 칼슘이 많은 뼈와 지방 조직에 잘 쌓입니다. 특히 골수세포에 많이 쌓여 세포를 죽게 해, 백혈병의 원인이 됩니다. 또 혈액으로 ... ...
“줄기세포 이식으로 피해입은 환자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7
오염이 될 수 있다. 배양에 사용하는 시약이나 성장인자가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성
시킬 위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 세포 형태, 세포 증식능 및 분화능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변화가 가능하다. 모든 의학적 요법은 일정 수준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건 위험을 감수할 수 있을 ... ...
세계 두 번째 ‘유전자 교정’ 학회 출범… “미래사회 논의할 교두보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6.12.15
진화에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 연구팀과 함께 유전병인 황반
변성
(안구질환) 치료 연구에 크리스퍼를 활용하고 있는 김정훈 서울대 의대 교수는 “의료 기술은 그 효과만큼 안전성도 매우 중요하다”며 “유전자 가위는 기존 치료법과 비교해 안전성 면에서 뒤지지 않기 ... ...
치매 원인물질 두 종류 한 번에 치료한다
2016.11.21
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 두 종류의
변성
을 한 번에 억제할 수 있는 신약후보 물질 ‘네크로스타틴-원(Necrostatin-1)’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뇌 속에 존재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또는 타우 단백질이 과도하게 응집하면 뇌세포를 ... ...
줄기세포 주사와 줄기세포 성형 어떤 점이 다를까
2016.11.20
아직 부족해 치료제가 많이 개발돼 있지 않은 상태다. 눈에 망막에 생긴 노인성 황반
변성
이나 스타가르트병 등 극히 일부 질병에서만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이 체세포 배아줄기세포 제작과정, 오른쪽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제작과정.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2. 성체줄기세포 ... ...
오사카 ‘와사비 테러’의 무기 ‘와사비’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11.08
들어있는 시니그린이라는 물질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되죠. 효소는 가열하면
변성
되기 때문에 팔팔 끓이는 뜨거운 음식은 고추냉이로 매운 맛을 낼 수가 없습니다. 고추냉이는 일본이나 울릉도, 미국 등지에서 자랍니다. 저온, 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20~40cm 정도 되고요.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네이처 프로토콜’에 발표했다. 김진수 단장을 포함한 국내 공동연구진은 황반
변성
(안구질환)과 리소좀축적증(중추신경장애), 샤르코마리투스병(근육위축병) 같은 각종 난치성 유전병에 대한 유전자 교정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꺼내기 전까지는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마치 결정이 자라듯 스트로마톨라이트를 형성했다는 얘기다. 그 뒤 지각변동을 겪으며
변성
암으로 바뀌면서 세포는 물론 유기물의 흔적도 사라졌지만 운 좋게 전반적인 형태는 보존됐다. 연구자들은 그린란드 이수아의 스트로마톨라이트가 그보다 2억 년 뒤 서호주의 스트로마톨라이트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