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일반심리학"(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피해자를 비난한다니, 언뜻 들으면 잘 이해되지 않는 말이다. 가해자가 버젓이 있는데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사건에 따라 피해자보다 가해자의 입장에 더 많이 공감하고 피해자를 비난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성폭력 사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GIB 제공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한 순간의 잘못, 몹쓸짓, 실수 등 흔히 성폭력을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한 순간의 실수일 뿐인데 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은 너무하다는 반응도 흔히 보인다. 하지만 정말 성폭력은 한 순간의 실수일까? GIB 제공 남성의 성욕은 본능이므로 성폭력은 어쩔 수 없다(?)는 변명 같지 않은 변명을 들을 ... ...
- [뉴로섹시즘] ① 여자는 원래 그래! 순수의 종말2018.03.08
- 대나무숲의 만년 떡밥 첫 문장이 어렵다. 무슨 글을 쓰더라도 첫 문장이 제일 어렵다. 이 글을 누가 볼까, 나는 어떻게 평가받을까, 누가 욕하지 않을까하는 수많은 걱정이 오간다. 오늘도 밤에 별이 스치우듯이 글에 대한 걱정도 쌓여간다. 이 모든 걱정은 내 이름을 걸고 글을 쓰기 때문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GIB 자기통제력, 즉 바람직한 목표나 상태를 성취하기 위해 이에 방해가 되는 욕구를 자제하는 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예컨대 눈 앞에 맛있는 마시멜로우나 갓 구운 쿠키를 보여주고 ‘조금 기다리면 하나를 더 주겠다’고 했을 때 십분여를 더 기다렸다가 하나를 더 받는 아이와 ... ...
- 미투(#MeToo) 운동, 어떤 변화 가져올까?2018.02.22
- 지난 1월 서지현 검사가 검찰 내 성추행 사실을 폭로하며 국내에서도 ‘미투(Me Too)’ 운동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고은 시인과 이윤택 연출가 등의 성추행 및 성폭력 사실이 밝혀지며 큰 충격을 줬습니다. 문화예술계를 넘어 사회 전반적으로 지위와 권력에 의해 행해진 성범죄에 대한 폭로가 잇따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이야기가 있다. 평소 멀쩡하게 있었더라도 어느 날 그 한 바구니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모든 계란이 한꺼번에 깨지기 때문이다. 연구들에 의하면 자존감도 마찬가지다. 좋은 엄마, 실적 좋은 회사원, 뛰어난 연구자 등 무엇 하나가 무너지면 나라는 사람 전체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누구누구가 ○ ○했더라’ 하는 이야기들을 듣거나 특히 SNS 등을 보고 있노라면 ‘나만 고양이 없어! 나만 유럽 여행 못 가봤어!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라고 하게 되는 순간이 찾아오기 마련이다. 평소에는 괜찮다가도 주변 사람들과 ‘비교’하기 시작하면 갑자기 그 전에는 괜찮아보였 ...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소중한 사람들을 잃게 되는 일에 나는 얼마나 준비가 되어있는지 궁금해졌다.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를 영영 떠나보내게 된다면 나는 과연 견딜 수 있을까? GIB 제공 ● 우리는 슬픔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선 슬픔은 크게 다섯 요소로 구성된다고 한다. 열망(격한 보고싶음, 그리움), 절 ... ...
- 우울한 기분 이겨내는 과학2017.12.19
- 겨울철은 해가 짧고 추워서 몸도 마음도 많이 움츠러드는 시기죠. 이런 때 연예인이나 유명인사의 죽음은 때론 충격적이고 우울한 소식으로 다가옵니다. 우리의 감정이나 마음가짐을 생각대로 바꾸기가 쉽지는 않지만, 인간의 정서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에 대해 좀 더 안다면, 추운 나날을 보내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실패는 두렵다. 실패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패는 꼭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실패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GIB 제공 ● 숙련 목표 VS. 성과 목표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태도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눈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