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때 빨간색과 파란색이 반복된다면, 그 별이 움직이고 있다는 겁니다. 별이 움직인다는
건
지구가 태양을 끌어당기는 것처럼 주변의 행성이 별을 끌어당기고 있다는 뜻이에요. 이렇게 움직이는 별의 속도를 관측자 입장에서 구하는 걸 ‘시선속도’라 하죠. 빛의 파장을 이용해 시선속도를 구하면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요소는 캐릭터 사이의 밸런스야. 유저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밸런스 요소지. 이
건
실제 게임 개발자에게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할게. 안녕하세요. 저는 카트라이더에서 유저가 사용하는 카트바디의 밸런스 조절을 맡고 있습니다. 게임의 캐릭터는 자신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경쟁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확실하게 힐링이 되기 때문이겠죠? 수학과 상관 없이 인생에 즐거운 취미생활이 있다는
건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즐거운 취미생활이 있길 바라요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밝혀졌다.세계보
건
기구(WHO)는 2014년 8월 8일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
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WHO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2016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대유행 동안 2만8616명이 감염됐고, 1만310명이 사망했다.에볼라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 계열 중 하나인 필로바이러스 과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으켰을 확률이 높은 만큼 현존하는 바이러스로 과거의 퍼즐을 정확히 끼워 맞추는
건
여전히 쉽지 않지만 말이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가장 먼저 제기된 가설은 생물의 최소 단위인 세포에서 바이러스가 비롯됐다는 것이다. 이는 바이러스의 생활사를 들여다보면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다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행과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수많은 사망자를 낸 에볼라바이러스는 모두 박쥐가
건
네준 것이다. 치사율이 100%에 이르는 광견병 바이러스도 박쥐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확률적으로 볼 때 특이한 현상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박쥐의 종류와 숫자가 놀랄 만큼 많기 때문이다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않은 닭이 낳은 유정란만 사용할 수 있다. 백신 생산 과정에 유정란이 쓰이기 시작한
건
1932년부터다. 호주의 미생물학자인 프랭크 버넷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배양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유정란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이 크게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버넷은 처음으로 유정란을 이용해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앞바다의 환경은 매우 달라. 그래서 이곳에 도착했다고 바로 바다로 갈 수 있는
건
아니란다. 지금은 쉼터 옆의 수조에서 사육사들과 바다로 돌아가기 위한 훈련을 하고 있어. 아이슬란드의 날씨가 좋아지는 5월이 가까워지면 바다로 돌아갈 수 있을 거야! “흰고래들의 훈련 이야기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갑자기 쓰러지다! 동물원에서 독수리를 포함한 멸종위기 조류들은 1년에 한 번씩
건
강검진을 받는다. 스라소니 같은 고양잇과 포유류가 아픈 증상을 숨겨 치료의 시기를 놓치는가 하면, 새들은 질병이 포유류보다 빠르게 진행돼 눈치 채지 못한 사이 급격히 안 좋아지기 때문이다.실제로 2월 1일,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넘어설 거라는 계산 결과가 나왔지. 탄소량이 늘어난다고 반드시 대량 멸종이 일어나는
건
아니야. 하지만 지구 역사에 비춰볼 때 대량 멸종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 이른다고 예측한 거야! 한편, 2100년을 지목한 또다른 학자 프랭크 교수는 이스터섬처럼 역사상 존재했다가 멸망한 문명의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