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당시 조사에 따르면 의료종사자와 감염 접촉자 수가 총 10만 명에 이르렀다.세계보
건
기구(WHO)는 사태를 진정시킬 방안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결론은 임상시험의 최종관문인 3상 임상시험을 마치고 결과 분석 중인 머크의 백신 ‘어베보(Ervebo)’를 긴급 접종하는 것이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서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키는 줄어들 가능성이 높거든요. 물론 무한정 작아지는
건
아니고요.중력은 항상 우리를 아래로 잡아당기고 있어서 몸을 일으킨 자세로 활동하는 낮에는 척추를 연결하는 마디들이 약간씩 찌그러져요. 그래서 저녁에 잰 키는 아침보다 0.5cm~1cm 정도 작지요. 다행히 밤에는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시민천문학자의 도움을 받은 연구 결과는 19
건
의 논문으로 발표됐습니다. 그래프로 알아내는 외계행성의 특징대다수 외계행성은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수십~수백 년을 날아가야 도달할 수 있는 먼 거리에 있습니다. 그런데 별빛을 가리며 지나가는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붓그리기 #그래프이론 #오일러 마인크래프트에 여러 가지 맵이 있는
건
알고 있지?데이비드 스트럿 스위스 로잔공과대학교 연구원은 2020년 4월 한붓그리기를 해야 탈출할 수 있는 맵을 개발했어. 한붓그리기는 붓을 한 번도 종이에서 떼지 않으면서 같은 곳을 2번 이상 지나지 않고 모든 점을 잇는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될 거예요!유형별 수학 문제집 선택 요령에 대해 이야기 해봤는데요, 사실 가장 중요한
건
어떤 문제집이든 확실히 끝내는 겁니다. 집에 풀다 만 수학 문제집이 쌓여 있는 친구들도 많죠? 수학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대충 여러 권을 푸는 것보다 한 권이라도 확실하게 푸는 게 더 도움이 됩니다.또 한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는 2020년 6월 20일 현재 코로나19와 관련한 논문 초고만 총 5459
건
이 올라와 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확인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코로나바이러스의 기본 속성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박쥐에서 (아직 정체를 알 수 없는 중간 숙주를 거쳐) 인간에게 전파됐고, 대부분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정하고 있는데, 팬데믹은 가장 높은 6단계에 해당한다. WHO가 설립 이후 팬데믹을 선포한
건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세 번째다. WHO의 6월 14일자 코로나19 상황보고서(Situation Report)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769만708명이 감염됐고, 이 가운데 42만7630명이 사망했다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으켰을 확률이 높은 만큼 현존하는 바이러스로 과거의 퍼즐을 정확히 끼워 맞추는
건
여전히 쉽지 않지만 말이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가장 먼저 제기된 가설은 생물의 최소 단위인 세포에서 바이러스가 비롯됐다는 것이다. 이는 바이러스의 생활사를 들여다보면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다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50년간 등장한 감염병 중 백신이 개발된 경우는 에볼라 백신인 ‘어베보(Ervebo)’ 한
건
에 불과한 현실이 하나의 방증이다. 에볼라는 전 세계에서 약 1만5000명의 사망자를 냈다.그럼에도 백신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인류를 무섭게 위협해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않은 닭이 낳은 유정란만 사용할 수 있다. 백신 생산 과정에 유정란이 쓰이기 시작한
건
1932년부터다. 호주의 미생물학자인 프랭크 버넷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배양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유정란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이 크게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버넷은 처음으로 유정란을 이용해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