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직업병이 있을까? 박 교수는 어떤 현상을 끝까지 분석할 때가 있다고 말했다.“일본에 주사위 두 개를 던져서 나온 숫자의 합이 홀수면 원래 가격의 두 배를, 합이 짝수인데 서로 다른 숫자가 나온 경우에는 반값을 내고, 합이 짝수이면서 숫자도 똑같으면 공짜로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곳이 있어요.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공지능과 직접 게임 대결을 펼치는 김경중 세종대 교수팀의 프로그램에는 본 강연 못지않게 많은 참가자가 몰렸다.이날 행사에는 불볕 더위에도 약 550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참석자 황기태 학생(서울 하나고 1학년)은 “하루 종일 강연이 이어졌지만 주제와 강연 방식이 달라 지루하지 ...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학생(이상 포항제철중 1)의 ‘언어장애인을 위한 터치 터치 톡톡(Touch Tou:ch Talk Ta:lk)’을 본 하지완 대구대 언어치료학과 교수는 “학회에 소개하고 싶다”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초등부에서는 어려운 과제를 팀이 아닌 혼자 힘으로 해낸 학생이 있어 눈길을 끌었다. 김형섭 학생(경기 야탑초 5)은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주요 개념인) 패러다임을 ‘본보기’로 여기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본보기란 사고방식이나 세계관이 아닌 과학적 문제 해법의 한 예로서, 과학계 대부분이 존경하고 모범으로 삼는 어떤 업적을 가리킨다”고 밝혔다. 이걸 알고 나면, 어떤 비정상 인간을 과학계가 동의하는 정상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게임 샐러드는 제가 기획한 걸 더 잘 표현할 수 있어요”라고 게임 샐러드를 처음 써본 소감을 밝혔어요.[드래그 앤드 드롭★대상이 되는 아이콘을 마우스로 끌어다 놓는 방식이다. 아이콘이 놓인 곳에 따라 적절한 작업이 이뤄진다.] 내가 기획하고 디자인한 게임플래피 버드를 만들며 게임 제작의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해서도 적절한 동작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해당 동작을 3D프린터로 출력해 빛을 비춰본 결과 목표했던 그림자 모양이 만들어졌다. 이 교수는 “컴퓨터의 빠른 탐색능력을 이용해 인간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창의적인 자세와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며 “공연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파란색, 흰색, 검은색, 5가지 색의 펜이나 색연필을 꺼내보세요. 그리고 색이 입혀진 최종본 지도를 따라 여러분의 느낌대로 색을 섞어 주면 됩니다.당연히 180가지 색을 완전 똑같이 칠하기는 힘들 겁니다. 중요한 것은 뇌의 어떤 부위가 어떤 기능을 할 것 같은지 생각하며 색칠해보는 겁니다. 지금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없다.1957년 미국의 물리학자 존 바딘과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는 초전도의 근본 원리를 양자장론으로 해석한 이론을 발표했다(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BCS이론이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초전도는 전자 두 개가 포논을 매개로 짝을 이루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큰 홀 안에 수백 명의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높은 점수를 얻어 대상을 받았다. 이번 행사 준비와 진행을 담당한 염민선 KISTI슈퍼컴퓨팅본부 책임연구원은 “모든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밤을 새워가며 노력하고, 결국 문제를 풀어내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며 “슈퍼컴퓨터 경험이 앞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고 적용하는 데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위키피디아에 있는 2010년까지의 3D 프린팅 데이터로 검증해본 결과 뇌 이식, 우주정거장 건설 등과 연결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3D 프린팅 기술은 현재 우주건설, 인공 장기와 관련해 연구가 한창이다.UNIST의 빅데이터 연구센터는 이렇게 개발한 예측 모형을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