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나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옆에서 본 모양을 다룰 때 위에서 본 모양으로 1층의 모양을 알 수 있고, 앞이나 옆에서 본 모양은 가장 높은 층이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쌓기나무 대신 연결 큐브를 쓰면 모양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어떤 얼굴에 물총을 쏘는지 관찰했다. 물총고기는 44개의 얼굴 가운데 훈련할 때 본 얼굴을 81% 정확도로 선택했다. 머리 모양과 색을 표준화한 두 번째 실험에서도 18개의 얼굴 중에서 학습한 얼굴을 86% 정확도로 골랐다.사람의 얼굴을 구분하는 것은 고도의 능력이다. 눈, 코, 입 등 생김새의 미묘한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 걸까요? 제가 한번 먹어… 아니, 과학적으로 따져봤습니다.브레인푸드. 많이 들어 본 단어입니다.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 입력하면 수많은 정보가 쏟아집니다. 호두와 잣, 참치, 연어, 브로콜리, 계란 등 브레인푸드라는 수식어가 붙은 음식이 족히 20가지는 넘더군요. 굳이 골라먹지 않아도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플로그룹은 무엇일까.’ 피펫 좀 잡아본 기자가 머릿속으로 실험계획을 세워 봤다. 기본적인 장비를 제외한 대략적인 비용은 5만 원.1. 입속에서 세포를 채취해 mtDNA를 분리한다. 2. mtDNA 중 초가변영역(HVR) 유전자를 증폭한다(mtDNA 서열 전체를 읽는 것은 비용이 꽤 비싸지만, HVR구간은 5000원 정도면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광물도 표면에 얇은 결정막이 형성됐을 때 빛의 간섭현상이 일어난다. 사진 속 표본도 침철석 결정이 종유석 형태로 자라면서 표면에 얇은 막을 만들었고, 그 덕분에 영롱한 무지갯빛 아름다움을 뽐낼 수 있게 됐다. 지구와 태양계 역사의 증인침철석은 화성 표면에 물이 흘렀음을 증명하는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까다롭지 않다(무한히 섭취해도 상관없단 얘긴 아니다). 정 교수는 “식품의 관점에서 본다면 테아닌이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부작용도 적다. 슬로우 카우에는 100mg의 테아닌이 함유돼 있어 녹차 한 잔에 들어있는 양(8mg)보다 12.5배가량 많지만, 현재까지 테아닌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센서’가 달려 있지 않거든.목소리 인식도 척척, 농담도 척척알파고의 대국을 처음 본 사람들은 놀랐을 거예요. 알파고의 자리에 사람이 앉아 있었으니까요. 이 사람은 구글 딥마인드의 리드 프로그래머인 아자 황 박사예요. 알파고의 눈과 손을 대신해, 알파고에게 상대편 돌의 위치를 입력하는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겨울을 나는 월동지의 문제인지 파악할 예정이랍니다.일본 이시카와현의 건민운동본부에서는 무려 45년째 제비 탐사를 해오고 있어요. 작년에만 약200개의 초등학교에서 6학년 학생 1만 2000여명이 참여할 정도로 활발하게 탐사를 벌이고 있답니다. 꾸준한 탐사를 통해 마을에 사는 제비의 수가 197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요리’는 음식을 만드는 행동이나 음식 자체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헤아릴 료(料)’와 ‘다스릴 리(理)’가 합쳐져 ‘잘 헤아려 다스림’이라는 뜻을 가 ... 뜻을 가진 글자예요. ‘나무 목(木)’은 나무의 모양을, ‘도끼 근(斤)’은 도끼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랍니다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대지진이 일어나서 땅이 갈라지고 건물이 무너지는 영화는 많지만 그런 모습을 실제로 본 사람이 거의 없어요. 이 경우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영상이 더 익숙한 경우가 많아요. 게다가 영상은 사람들이 상상하는 모습을 극적으로 연출하거든요. 실제로 홍수가 나면 물이 육지를 향해 밀려들 뿐인데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