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테니스 포 투’에서 영감을 얻은 1세대 비디오 게임 ‘퐁’이 출시됐습니다. 탁구를
본
떠 만든 이 게임은 그야말로 대성공을 거뒀지요. 손님들이 동전을 너무 많이 넣어 게임기가 고장이 날 정도였다는군요. 오늘은 앱메이커로 ‘퐁’을 만들 거예요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나무판자를 규칙적으로 조립하면 다빈치의 다리가 완성됩니다.여러분은 지오데식 돔을
본
적이 있나요? 제주 올레 8코스를 걷다 보면 지오데식 돔 형태의 서커스 공연장을 볼 수 있습니다. 왜 공연장을 지오데식 돔 형태로 지었을까요?‘돔’은 지붕이나 천장이 반구 모양인 건축물입니다. 힘이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하지만 역시나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처음으로 심우주 탐사에 성공한 우주범선은 일
본
JAXA의 이카로스다. 이카로스는 2010년 5월 20일에 발사돼 같은 해 12월 8일, 금성에서 8만800km 떨어진 지점까지 다가가는 데 성공했다. 203일 만에 이뤄낸 쾌거였지만, 일반 우주선보다 획기적으로 빠르지는 않았기에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얘기다.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사람의 달팽이관을
본
떠 외부 기기가 전혀 필요 없는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을 개발했다(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2014년 11월호). 이 기저막은 기존 인공 와우의 마이크로폰 대신 소자 안에 든 유체가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온다는 휴 댄시라는 배우 이야기를 꺼냈다. 그 누군가를 제외하면 아무도 그 영화를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영화 줄거리 소개가 한참 이어졌다.윤정은 거의 이야기에 끼어들지 않았다. 종종 추임새를 넣고 후작에 대해 몇몇 코멘트를 던지긴 했지만 도저히 이야기에 집중할 수 없었다.이제 윤정은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인공 귀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위 사진). 또한 쥐의 인공조직을 만들어 쥐에게 이식해
본
결과, 별다른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답니다.강현욱 교수는 “이 기술은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복원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기자단 소식] 일
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영하는 모습을 올려다볼 수 있을 정도로 수조의 물이 정말 투명했습니다. 제가 가
본
우리나라의 동물원들에서는 하마 우리가 너무나 더러워서 하마를 찾는 것조차 어려웠는데 말이죠.우리나라 동물원은 염소나 양에게 먹이를 주는 체험이 거의 전부입니다. 그런데 아사히야마 동물원은 새끼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런 것도 빅데이터 분석으로~? 1. 다른 성별로 게임해
본
사람 손~?!KAIST 문화기술대학원 차미영, 박주용 교수팀은 자신의 성별과 아바타의 성별을 다르게 만들어 게임하는 사람들을 분석했다. 게임 속 세상을 가상 실험실로 보고 게임 내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들의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간질이는 실험도 했는데 이때 실험 참가자는 간지럼을 타지 않았습니다. 눈으로
본
로봇의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움찔했을지 몰라도 사람과 같이 계속해서 세기나 위치가 바뀌지는 않거든요. 그런데 로봇도 만약 예상범위를 벗어나도록 속도나 범위를 계속 변화시키면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두께가 2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인 태양전지를 만들었답니다. 실제로 실험해
본
결과, 이 태양전지는 유리로 만든 기존의 태양전지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였어요.불로비치 교수는 “이 태양전지는 옷이나 생활용품에 붙일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