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교수는 “프랑켄슈타인 같은 로봇들이 일으킬 반란이 아니라, 로봇을 소유한 극소수 자
본
가 계급을 위해 노동이 기술로 대체되는 것이 미래의 진정한 위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13일, 영국의 최대 국영은행인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가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투자자에게 돌려준 금액이 25% 가량 많았습니다. 심지어 지나친 믿음으로 손해를
본
사람도 있었죠.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이런 실험 결과를 보면 배신은 뇌의 생물학적인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이런 옥시토신의 강력한 효과 때문에 옥시토신 ... ...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끌었다. 결국
본
사의 조사팀이 왔다.
본
사의 조사팀원 중 한 명이 그를 공항으로 불렀다.
본
사 사람들은 바쁘신 몸이라 거주구역까지 한가히 찾을 여유가 없었다. 조사팀원은 그가 기계 관리며 광산 관리에 관해 코쇠인들에게 했던 조언을 물었다. 배워 아는 것을 물어보니 가르쳐 준 것이죠. 그는 ... ...
[핫이슈] 중학교 자유학기제, 스마트하게 준비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않으니까 공부는 조금 멀리해도 되는 걸까요? 대답은 당연히 ‘NO’! 자유학기제에도 기
본
교과 수업은 진행되기 때문에 공부를 멀리하다가는 일반 학기가 시작됐을 때 공부가 어려워질 수 있거든요. 이처럼 공부와 함께 다양한 경험도 해야하는 만큼 시간 관리가 아주 중요하지요.그래서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일치하지 않았다. 미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퍼시벌 로웰은 르베리에의 방법을
본
따 “해왕성 너머에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했다. 1906년 이 미지의 아홉 번째 행성에 ‘행성 X’라는 이름도 붙였다. 자신의 이름을 딴 로웰천문대에서 행성 X가 있을 만한 곳을 샅샅이 뒤졌다. 로웰이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알고 있으면 찾기가 수월하다. “하지만 해시값이 만능해결사는 아니에요. 의뢰인이 원
본
동영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영상의 일부만 편집해 새로운 영상을 만들어 배포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동영상이 편집되면 해시값이 바뀌기 때문에 이 정보만으로 찾기는 어렵다. 이럴 때를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 ...
[Tech & Fun]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나오지 않았습니다. 용의자로 지목됐던 미군 에드워드 리와 아더 존 패터슨과는 처음
본
사이였지요. 당시 검찰은 한번에 피해자를 제압할 수 있어 보이는 건장한 체격의 에드워드 리를 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가해자의 몸집이 왜소하더라도 갑작스럽게 공격하면 건장한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비슷하다고 해석하는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영화에서
본
공룡은 우둘투둘한 피부에 뭐든 물어뜯을 것만 같은 강력한 이빨이 인상적입니다. 깃털을 뽐내며 하늘을 나는 새와 무척 달라 보이지요. 공룡처럼 이빨이 달린 턱, 손톱이 난 세 손가락은 물론 새처럼 깃털도 있는 동물의 화석이 1861년에 발견됐을 때 사람들은 이 동물을 ‘시조새’라고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