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투자자에게 돌려준 금액이 25% 가량 많았습니다. 심지어 지나친 믿음으로 손해를
본
사람도 있었죠.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이런 실험 결과를 보면 배신은 뇌의 생물학적인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이런 옥시토신의 강력한 효과 때문에 옥시토신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리네우스에 의해 물의 어는점이 0℃, 끓는점이 100℃로 바뀌지요.그런데 혹시 ℉란 온도를
본
적 있나요? 이는 화씨온도의 단위예요. 화씨온도는 독일의 과학자 다니엘 파렌하이트가 1720년에 만들었어요. 이것은 얼음의 녹는점을 32℉, 물의 끓는점을 212℉로 한 뒤, 두 온도 사이를 180등분 한 온도예요.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다양한 모양을 볼 수 있는 수집용 광물 중에서도, 이 표
본
처럼 현미경으로 들여다
본
눈 결정을 떠올리게 하는 그물망 형태는 매우 드물다.약방의 감초에서 퇴출 대상이 된 납문명은 인간의 욕망이 동기가 돼 이뤄낸 기술의 산물이다. 바꿔 말하면 인간의 역사는 도구 발명의 역사이자, 재료 발견의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세균이나 기생충에도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답니다.”기사에서만 보던 킹넙치를 실제로
본
기자단 친구들은 그 크기에 깜짝 놀랐답니다. 어른 남성이 한손으로 들기에 벅찰 정도였으니까요. 생물사육동 맞은편에는 또 다른 건물이 있어요. 이곳은 ‘뱀장어양식동’이에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일치하지 않았다. 미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퍼시벌 로웰은 르베리에의 방법을
본
따 “해왕성 너머에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했다. 1906년 이 미지의 아홉 번째 행성에 ‘행성 X’라는 이름도 붙였다. 자신의 이름을 딴 로웰천문대에서 행성 X가 있을 만한 곳을 샅샅이 뒤졌다. 로웰이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알고 있으면 찾기가 수월하다. “하지만 해시값이 만능해결사는 아니에요. 의뢰인이 원
본
동영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영상의 일부만 편집해 새로운 영상을 만들어 배포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동영상이 편집되면 해시값이 바뀌기 때문에 이 정보만으로 찾기는 어렵다. 이럴 때를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1996년 필자는 물리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우주의 모든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안다면 우주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라플라스의 악마처럼 ...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 ...
[Tech & Fun]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나오지 않았습니다. 용의자로 지목됐던 미군 에드워드 리와 아더 존 패터슨과는 처음
본
사이였지요. 당시 검찰은 한번에 피해자를 제압할 수 있어 보이는 건장한 체격의 에드워드 리를 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가해자의 몸집이 왜소하더라도 갑작스럽게 공격하면 건장한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영화에서
본
공룡은 우둘투둘한 피부에 뭐든 물어뜯을 것만 같은 강력한 이빨이 인상적입니다. 깃털을 뽐내며 하늘을 나는 새와 무척 달라 보이지요. 공룡처럼 이빨이 달린 턱, 손톱이 난 세 손가락은 물론 새처럼 깃털도 있는 동물의 화석이 1861년에 발견됐을 때 사람들은 이 동물을 ‘시조새’라고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동물에게 안전해도 인간에겐 위험?!1953년 독일에서는 진정제 효과가 있는 ‘탈리도마이드’라는 약이 개발됐어요. 임산부가 이 약을 복용하면 입덧을 덜 한다는 효능이 알려지면서 유럽은 물론 세계 50여 개 나라에 팔렸지요. 특히 이 약이 인기가 있었던 이유는 쥐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했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