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컷이 46cm, 암컷은 38cm정도로 수컷이 좀 더 큰 편이에요. 상당히 민첩하고 활동적인데, 주로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에 활동하지요. 다른 원숭이들이 먹이를 훔쳐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의 큰 볼에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답니다.원숭이를 사랑한 과학자원숭이는 알면 알수록 정말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강화’라고 부른다.항체 의존성 강화는 원래 뎅기바이러스의 네 가지 혈청형 사이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형제처럼 닮은 두 바이러스 A1과 A2가 있다고 하자. 먼저 A1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면역계가 반응해 바이러스를 물리치고 A1에 반응하는 기억B세포를 남긴다.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다. ...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지만, 대개는 수집용 광물로 인기가 높다. 광물계에 소개된 스콜레사이트는 주로 중심에서 바깥으로 방사형태로 뻗어 나간 무색투명한 침상 결정이 특징이다. 하지만 데칸고원에서 발견된 이 표본은 붉은색 침상 결정이 미세한 석영 결정(칼세도니)으로 이뤄진 껍질 속을 채워 붉은 원숭이 모양을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행하는 학술지 ‘만성질환예방’ 2012년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doi:10.5888pcd9.110323). 주로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 직장인 34명을 대상으로,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는 근무 형태가 앉아서만 일하는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 것이다.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7주 동안 이어진 실험에서 24명은 첫 주와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찾을 수 있다. 한 예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유리, 비닐 표면에 묻은 지문을 검출할 때는 주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쓴다. 접착제 성분의 이 물질은 잠재지문에 남은 수분이나 젖산염 이온과 만나 중합반응을 일으킨다. 그 결과 융선 모양이 하얗게 드러난다.수중 증거물에서 지문을 채취할 때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5) 및 황금비(약 1:1.618)입니다. 일반적으로 가로살과 세로살의 비례로는 1:1, 3:5, 1: 2, 7:11이 주로 쓰였습니다.띠살창호를 정확하게 만드는 방법띠살창호는 삼국시대부터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삼국시대에는 자가 없었을 텐데 어떻게 일정한 간격의 창호를 만들 수 있었을까요?힌트를 하나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크게 북권과 남권으로 나뉩니다. 북권은 동작이 크며 발을 많이 사용합니다. 남권은 팔을 주로 쓰며 화려하기보단 순간적인 힘을 실은 간결한 동작이 많고, 움직이는 행동반경이 넓죠. 이보다도 무엇을 표현하느냐가 확연히 다른데요. 북권의 대표문파인 태극권은 우주, 자연을 표현하는 반면,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김치, 그리고 각종 장류다. 한국의 장은 주로 메주를 이용해 만드는데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간장의 맛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간장의 맛은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복잡하다.요즘 간장 하면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볼 수 있다오로스는 거울 중에서도 원기둥 거울이 있어야 제대로 볼 수 있는 작품을 주로 만들어요. 그림을 그리기에 앞서 바탕이 되는 격자를 원기둥 거울을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이 되도록 길게 늘이지요. 그리고 그 격자 안에 그림을 그려요. 그러면 그림이 마치 부채꼴의 중심을 에워싼 것처럼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불편하지요. 그러나 도시에서는 고속도로를 제외하고 빠른 속도를 낼 수 없으며, 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아요.하지만 배터리 충전시간이 2~3시간 걸린다는 점은 도심 주행에서도 단점이 될 수 있어요. 따라서 초소형 전기차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배터리 효율이지요. 물론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